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8권 1호

직급정보를 활용한 성별 임금격차 분해

Decomposing the Gender Wage Gap Across Occupational Hierarchies
저자명
황성수 이지은 금예진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8-01-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5.03.31
등록일
2025.04.15
주제어
성별 임금격차, 직급별 임금격차, Oaxaca-Blinder,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 임금분해, gender wage disparities, wage disparities by occupational rank, blinder Oaxaca,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 (HCCP), wage decomposition
성별 임금격차는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을 드러내는 요소 중 하나이다.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31.1%, 2022년 기준)는 OECD 국가 중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OECD 평균 12.1%, 2022년 기준). 하지만 이러한 격차는 단순히 성별 차이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기업규모, 업종, 근속연수, 학력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 데이터에 Oaxaca-Blinder 분해 방법론을 적용하여 직급과 같은 기업 내 역량, 지위, 근속연수 등의 정보가 성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임금분해 결과, 남성의 평균 시간당 임금은 16,446원이고 여성은 12,473원으로 총 31.8%의 임금격차를 보였다. 이 중 인적 자본 특성으로 설명되는 부분(차이)은 14.5%이며, 설명되지 않는 부분(차별)은 15.1%이다. 직급을 감안할 경우에는 총 30.3%의 임금격차를 보이며, 이 중 차이로 인한 부분이 21.1%이고, 차별이나 기타 불균형으로 인한 부분은 7.6%로 나타났다. 특히, 직급을 고려하였을 경우 남녀 임금격차에서 차별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Gender wage inequality is a key indicator of economic disparity in South Korea. As of 2022, the gender wage gap in South Korea stands at 31.1%, significantly exceeding the OECD average of 12.1%. However, this gap arises not solely from gender differences but from various factors, including firm size, industry, tenur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is study applied the Oaxaca-Blinder decomposition method to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data to analyze the impact of corporate factors such as occupational hierarchy, job status, and tenure on the gender wage gap.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verage hourly wage for men is 16,446 KRW, while for women it is 12,473 KRW, resulting in a total wage gap of 31.8%. Of this gap, 14.5% is attributable to differences in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while 15.1% remains unexplained, suggesting potential discrimination. When occupational hierarchy is considered, the total wage gap decreases to 30.3%, with 21.1% attributed to differences and 7.6% to unexplained factors, including discrimination. Notably, accounting for occupational rank reduces the portion of the wage gap attributed to discrimination, highlighting its mitigating role in gender wage inequalit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8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