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8권 1호
가사노동이 유배우 남녀 관리자의 경력목표에 미치는 영향
Household Labor and Career Aspirations among Married Managers: A Gender Comparison
- 저자명
- 양은모 배호중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8-01-0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5.03.31
- 등록일
- 2025.04.15
주제어
가사노동, 경력목표, 패널 확률효과 순서형 로짓모형, 남성관리자, 여성관리자, career goals, female manager, household labor, male manager, panel random-effects ordered logistic model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생산하는 「여성관리자 패널조사」 2기 조사 2~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100인 이상 기업에 재직 중인 관리자(과장급 이상)의 경력목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임원이 아닌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직장에서 희망하는 네 가지 목표 지위(지위에 관심 없음/현 지위에 만족/차・부장급/임원급)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패널 확률효과 순서형 로짓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관리자의 경력목표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관리자 모두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경력목표가 낮았다. 반면, 직장 일이 가정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할수록, 연봉이 높을수록, 경력목표가 높았다. 아울러 공공 또는 비법인 단체에 재직하거나 오너 경영 사업체에 재직 중인 남녀 관리자들은 경력목표가 낮았다. 본 연구의 핵심 변수인 가사노동 시간은 여성관리자에게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배우자의 가사노동 시간이 길수록 여성 관리자의 경력목표가 높은 반면, 가사노동의 분담정도가 클수록 경력목표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노동시장에서 여성 임원 및 관리자급 여성 인력의 활용을 증진하고,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한다.
This study analyzes data from the second and third waves of the second cohort of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KWMP)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aspirations among managers (assistant manager level and above) working in firms with 100 or more employees. Specifically, this analysis focuses on non-executive managers and categorizes career aspirations into four levels of desired occupational status: no interest in promotion,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position, aspiration for middle management, and executive-level positions. A panel random-effects ordered logistic model was employed to examine the ordinal outcome. The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female managers have lower career aspirations than males. Career aspirations were higher among employees who perceived their work as positively impacting family life and those with higher salaries. A key variable of interest, household labor hours, yield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ly for female managers. Specifically, women with spouses more involved in household chores had higher career aspirations, while those handling more domestic responsibilities themselves reported lower aspi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policies to boost female executives’ participation and enhance workforce efficienc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8권 1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