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직업과 인력개발 4권 1호

[특집II] 직업교육훈련체계 개편 배경

직업교육훈련 연계의 발전 방향
저자명
정태화
분류정보
직업과 인력개발(04-01-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02.28
등록일
2001.02.28
21세기는 세계화 ·정보화로 대변되는 시대적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WTO 체제의 출범은 '국경 없는 무한 경쟁의 지구촌 시대' 를 열었고, 정보와 공학의 급속한 발전은 정보화 시대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와 노동시장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모든 계층의 국민이 참여하여야 할 필요가 점증하는 평생학습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진 국가들은 기존의 직업교육훈련제도로는 질 높은 인력을 양성 ·공급하기 어려워 국가 생존 자체에 위협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위기 의식을 출발점으로 하여 대대적인 직업교육훈련 개혁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나라도 이 같은 추세에 적극 동참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직업교육훈련제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책이 개발 ·실행되어야 하지만, 연계 강화 대책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일은 직업교육훈련의 효율성, 효과성, 다양성, 개방성, 유연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적극 추진의 필요성이 확인된다. 한편, 직업교육훈련의 연계 대책을 마련하는 일은 우리 사회를 평생학습사회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평생학습사회는 여러 계층의 국민에게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상황과 필요에 따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고, 연령과 출신 교육훈련 기관에 상관없이 '연속성'(sequency)을 갖춘 교육 내용을 제공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직업교육훈련제도와 직업교육훈련기관은 상호 연계화된 체제 내에서 관련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적절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에 있어서 연계의 유형과 개념, 연계의 필요성, 연계의 추진 방향, 연계의 기대효과 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과 인력개발 4권 1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