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관심도 많고 또한 국가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요구도 높다.이는 “2002의 인적자원개발 업무계획,”“프로젝트 2005,”“2010의 변화 구상,”“2015년의 미래 예측,””비전 2020”등 프로젝트가 많음에서 알 수 있다. 쉽게느껴지듯 이 모든 것들은 앞으로 적어도 20여년 간의 우리의 인적자원개발의 향방이나 그 규모를 망라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러나 더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하는 것은 단순한 의지의 나열적 전개보다 우리가 중시하는 인적자원개발의 근미래를 정확하게 준비하는 것이라 하겠다.
인적자원개발이 강조됨에 따라 그 개념과 위상에 약간 혼선 내지는 이해부족의 상황을 노출시키고 있는 직업교육훈련이 갖는 함의는 이러한 상황전개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국가 인적자원개발의 실질적 근간을 이루는 것은 직업교육훈련이기 때문이다.이 글에서는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하여 그것이 중시되어야 하는 이유로서 미래 변화 예측에 따라 전개되어야 할 직업교육훈련의 위치와 소이연을 정리한 다음,이어 PeterDruker가 구조화 과정에서 던지는 세 가지 질문들에 터해,미래 세계에의 대처로서의 직업교육훈련의 사명,다양한 직업교육훈련 고객의 관리,직업교육훈련의 혁신성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