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직업과 인력개발 4권 4호

[OPINION] 직업교육훈련의 새 자세

저자명
신익현
분류정보
직업과 인력개발(4권 4호)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01.08.30
등록일
2001.08.30
최근 들어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관심도 많고 또한 국가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요구도 높다.이는 “2002의 인적자원개발 업무계획,”“프로젝트 2005,”“2010의 변화 구상,”“2015년의 미래 예측,””비전 2020”등 프로젝트가 많음에서 알 수 있다. 쉽게느껴지듯 이 모든 것들은 앞으로 적어도 20여년 간의 우리의 인적자원개발의 향방이나 그 규모를 망라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러나 더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하는 것은 단순한 의지의 나열적 전개보다 우리가 중시하는 인적자원개발의 근미래를 정확하게 준비하는 것이라 하겠다.

인적자원개발이 강조됨에 따라 그 개념과 위상에 약간 혼선 내지는 이해부족의 상황을 노출시키고 있는 직업교육훈련이 갖는 함의는 이러한 상황전개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국가 인적자원개발의 실질적 근간을 이루는 것은 직업교육훈련이기 때문이다.이 글에서는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하여 그것이 중시되어야 하는 이유로서 미래 변화 예측에 따라 전개되어야 할 직업교육훈련의 위치와 소이연을 정리한 다음,이어 PeterDruker가 구조화 과정에서 던지는 세 가지 질문들에 터해,미래 세계에의 대처로서의 직업교육훈련의 사명,다양한 직업교육훈련 고객의 관리,직업교육훈련의 혁신성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4권 4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