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높은 실업률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는 일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등장하였다. OECD 국가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청년의 직업세계로의 순조로운 이행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미국 역시 1994년 『학교-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를 제정하는 등 연방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을 통하여 청년들의 원만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그러한 노력은 청년 실업의 감소 등과 같은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다고 보고된다.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은 연방 정부 수준에서의 방향 제시 및 재정 지원과 지방 정부와 현장 수준에서의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으로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방 정부 차원의 정책뿐만 아니라 그것이 지방과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이 글에서는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school-to-worktransition)현황을 간략히 개관한 후에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주들 가운데 하나인 위스콘신주의 학교-직업세계 프로그램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