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직업과 인력개발 4권 4호

[특집] OECD 국가의 인적자원개발 동향

저자명
황호진
분류정보
직업과 인력개발(04-04-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1.08.30
등록일
2001.08.30
  OECD 국가들은 지식사회로의 전환 및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인적자원 개발이 학령기의 정규교육(initialeducation)뿐만이 아니라,직업과 교육훈련간의 계속적인 전이(transition)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생애에 걸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그러나 OECD 국가들은 아직 이러한 ‘평생학습’의 전체 체제를 명료하게 정의하거나 목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목표가 제시된 경우에도 특정분야에 한정하고 있는 형편이다.
  OECD 국가들은 최근 평생학습을 중심으로 하여 인력개발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는 첫째,형식적 학습 과정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학습을 인정하고,둘째,학습 동기화 및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등 보다 광범한 기초 기술(foundationskills)을 개발하며,셋째,생애에 걸친 다양한 학습의 장이라는 생애적 관점에서 기회(access)와 형평성(equity)에 접근하고,넷째, 모든 학습영역과 학습의 장을 포괄하는 재원 배분을 검토하며,다섯째, 단일부처가 아닌 관련부처 및 다수의 사회적 관련집단간의 협동을 확보하고자 하는 다섯 가지 영역이다.여기서는 앞의 네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OECD 국가의 인력개발 동향을 살펴본다.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과 인력개발 4권 4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