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직업과 인력개발 5권 1호

[연구노트] 노인계층 직업훈련의 과제 : 정부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저자명
심인선
분류정보
직업과 인력개발(05-01-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02.28
등록일
2002.02.28
“힘도 없는 노인네들이 무슨 일을 합니까. 젊은이도 일자리가 없다고 난리 난 세상이잖아요. 노인에게까지 어떻게 신경 쓰나요 (중부일보, 2001년 1월 8일자).”
2000년 인구총조사 결과, 우리나라 60세 이상의 노인인구는 5,160,655 명으로 전체인구의 11.2%이며, 65세 이상 노령인구의 규모는 3,371,806명으로 전체인구의 약 7.33%로(통계청, 2001) UN이 정의한 노령화사회가 되었다. 14세 이하 인구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을 나타내는 노령화지수 역시 1970년에 7.2%, 2000년에 34.8%로 급격히 높아져 노인의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통계청, 2001). 또한, 2020년의 인구 전망치에 따르면, 노령인구의 비율이 2020에 14%가 넘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미 노령화 된 어느 국가보다 그 추세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허재준 외, 2000). 
이와같이 노령화사회로의 빠른 이양은 우리사회가 노령화에 대한 대책과 준비를 시급히 마련해야 함을 말해준다. 특히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어려운 경제상황이 계속되면서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관심과 함께, 경제적인 빈곤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었고, 기업의 구조조정과정에서 발생한 준고령실업자의 상당수는 재취업에 실패하여 이들의 노후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건강상태가 양호해 짐에 따라 많은 고령자들은 적극적인 경제활동을 지속하기를 바라며, 경제적인 자립을 하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개방화, 세계화로 시장여건이 변모하며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현사회에서 상대적으로 진부한 기술과 기능을 가진 노인들이 설자리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또한, 정보사회에서 노인은 신체적, 정신적 이유들로 인해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병준 외, 1999). 그러므로, 가치나 규범 등이 변화하고 일상생활자체가 변화하여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이 형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들로 하여금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과 함께 직업세계의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에게 제공되어지는 정부지원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노인계층의 직업훈련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과 인력개발 5권 1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