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은 학교교육을 마치고 처음 일자리를 찾는 계층으로서 부단한 직업탐색(job search)을 하는 과정에서 경기변동에 민감하다는 특성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실업이 발생한다. 청년층이 실업상태에 직면하게 되면 다른 계층과는 달리 고용보험의 수급대상자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신규실업자라는 점에서 소득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나 청년층 유휴인력의 활용 측면에서 사회ㆍ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다른 연령층보다 심각하다.
본 고의 목적은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school to work transition)과정에서 발생하는 청년층 실업의 현황과 원인, 파급효과 등을 살펴봄으로써 청년층에 대한 정부정책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복잡한 이론에 입각한 계량적인 분석보다는 청년층 노동시장의 추이 및 현황에 대한 통계중심의 분석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우리나라 청년층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정형화된 사실들(stylized facts)을 도출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부응하기 위해서 본 고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제 Ⅱ장에서는 청년층 실업의 현황과 원인에 대해서 살펴본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청년층 실업의 원인이 경기적 요인에 의한 것인가, 아니면 구조적 원인에 의한 것인가를 짚어 본다. 제 Ⅲ장에서는 청년층 실업이 미치는 사회ㆍ경제적 효과에 대해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제 Ⅳ장의 청년층 실업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과제에 대해서 살펴본 후 본고를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