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직업과 인력개발 5권 3호

[특집]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과 진단

저자명
진미석
분류정보
직업과 인력개발(5권 3호)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02.06.30
등록일
2002.06.30
  최근 고등학생들이 자연계열을 기피하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대학 진학시 이공계열 학과에 진학하지 않는다 하여 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등 관련 정책당국자들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여러 부처가 관련되어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이공계 기피 현상은 사회경제적·문화적·교육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두 가지 단기적인 처방을 성급하게 모색하기보다, 이공계 기피 현상의 본질은 무엇이며, 또 어떤 측면에서 어떤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지 등 현상을 정확하게 짚어보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공계 기피 현상은 대체로 두 가지 수준에서 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고등학교에서의 이과선택 학생의 감소와 우수학생의 대학 이공계열 진학 기피가 그것이다. 위의 두 가지 문제는 서로 깊이 연관되어 있지만, 상이한 요인과 이에 따라 상이한 정책적 처방을 요구하는 부분도 있다. 전자에는 교육내적·문화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면, 후자의 문제는 경제적·노동시장적인 요인이 더 강하게 작용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 측면의 이공계 기피현상의 실태와 본질을 살펴보면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5권 3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