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은 경제발전에 따른 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소득수준의 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단축되어지고 있다. 초기 산업화 단계에서는 근로자의 건강과 산업재해 방지가 목적이었지만, 산업구조가 고도화됨에 따라 근로시간 단축은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과 여가의 활용 즉, 노동의 대체 차원에서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근로시간단축 요구는 IMF 금융위기 이후 경기위축과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자리 나누기(work sharing)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오다가 최근에는 장시간근로 해소와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법정근로시간단축과 주5일 근무제가 주요 쟁점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2000년 10월 23일 노사정위원회는 교육훈련의 기회 확대, 빠른 시일내의 주5일 근무제 정착 및 주5일 근무제의 정착을 위한 교육훈련·여가시설의 확충 등의 사항을 합의하고 제도화를 준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근로시간단축에 따른 삶의 질 향상과 직업능력의 제고를 위한 평생직업교육훈련의 기회 확대 방안을 근로자의 욕구조사에 터해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