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직업교육훈련 2권 1호

[연구노트] 플로우(Flow)모형을 이용한 98년 하반기 실업구조 분석

저자명
이상준
분류정보
직업교육훈련(02-01-1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9.03.25
등록일
1999.03.25
 98년 한해 동안의 실업률을 보면 1월의 4.5%를 시작으로 7월에 7.6%로 가장 높았다가 계속 감소추세를 돌아셨으며 98년 마지막 달인 12월에는 다시 연중 최고치인 7.9%를 기록하였다. 98년도 상반기 실업의 특성으로는 저학력계층의 실업자수 증가와 가구주 실업 비중의 증가, 영세규모와 대기업의 실직자수 증가, 실업자의 직업별 양극화 현상, 비자발적 실업의 증가, 임시, 일용직 근로자의 실업증가, 고학력자의 실업장기화 및 고급직종 종사자들의 실업장기화를 들 수 있다. 특히 실업기간 및 구직기간의 장기화는 고학력 외에 주변연령층보다는 핵심연령층(25~39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면 98년 하반기 실업구조는 어떠한가? 상반기에 비해 실업자수가 감소했던 하반기의 실업구조는 상반기와 어떠한 차이점을 지니고 있는가? 이 글에서는 작년에 있었던 상반기 패널 연구들에서 이루어지지 못했던 하반기 실업구조와 실업의 양태를 분석하고 6월의 실업자를 대상으로 종사상지위와 직종의 이동 등을 통해 전직실업자들의 재취업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통계청에서 조사되는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원자료를 개인별 ID로 연결하여 패널자료(Panel data)를 만든 후 이 자료를 이용하여 98년 하반기인 6월부터 12월까지의 실업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글은 총량분석보다는 노동력 이동을 중심으로 한 스톡-플로우 분석을 통해 진행하고자 하며 이는 노동력 상태간의 동태적인 흐름을 구분하여 분석하면 실업대책에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교육훈련 2권 1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