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는 12대 국제 과제를 제시하고 그 중에서 능력중시사회 구현과 관련한과업으로‘국민화합’,‘ 사회통합’,‘ 능력중시사회구현’,‘ 국민들이 잘사는 사회 실현’을 국정기조에서 강조하고 있습니다. 즉 국민통합과 양성평등사회의 구현을 위하여 성, 장애, 학력·학벌, 비정규직, 외국인이라는 5대 차별을 해소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5대 차별은 모두 우리 사회에서 사라져야 할 차별인데 특히 학력·학벌에 의한 차별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너무나 극심하여 , 폐해 또한 사회 곳곳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오늘 제가 여러분과 1시간 동안 이야기를 나누고자 하는 주제는“ 학력중시사회에서 능력중시사회로의 대 전환”인데 이러한 전환은 시간을 요하고 쉽게 풀 수 없는 문제이지만 문제를 함께 공감함으로써 해결의 실마리를 풀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구체적으로 논의할 내용은 △학력중시사회의 뿌리는 무엇이고, 왜 이런 사회가 형성이 되었는가? △학력중시사회가 가져온 병폐 현상과 문제를 교육현장 측면과 노동시장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우리는 학력중시사회에서 벗어날 수 없는가? △마지막으로 능력중시사회 구현을 위한 대책 강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