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직업과 인력개발 6권 6호

[현장동향] 국가직업능력표준개발을 통해 살펴 본 이종(異種)직무분석기법 병행 연구

저자명
신수영
분류정보
직업과 인력개발(06-06-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03.12.30
등록일
2003.12.30
정보기술의 발달과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새로운 직업과 역할을 생겨나게 하였고 이에 따라 각 개인들은 자기개발에 대한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게 되었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계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교육 및 훈련을 위해서는 현재 실행하고 있는 업무뿐 아니라, 앞으로 수행해야하는 업무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산업 현장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해결해 줄 직무분석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으나 이를 충족시켜줄 이론적 연구 및 실증적인 연구는 그 동안부족한 편이었다. 특히 직무분석이 실시되었더라도 제도나 시스템과의 연계가 부족하여 결과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글을 통해 2003년 국가직업능력표준(미용서비스) 개발에서 적용한 직무분석 기법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한다.

국가직업능력표준의 소개
개발방법 및 절차
결론 및 제언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과 인력개발 6권 6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