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직업과 인력개발 6권 6호

[특집] 교육 관점에서 본 청년실업

저자명
이정표
분류정보
직업과 인력개발(06-06-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12.30
등록일
2003.12.30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평생 직업교육의 중요성 대두
청년실업과 교육 문제 진단
  1. 청년층의 높은 유휴화율
  2. 학교에서 직업세계 이행의 장기화
  3. 학교교육과 산업계 수요간 불일치
  4. 청년층의 대기업 선호 및 중소기업 기피 의식
  5. 청년층의 직업기초 태도 및 가치관 부족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교육 대책
  1. 초등교육 단계에서 대학까지의 직업·진로교육 및 지도체제 구축
  2. 고교 직업교육의 내실화·다양화
  3. 산업현장의 요구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 강화
  4. 산업현장의 수요와 평생학습 요구를 반영하는 자격제도 개선
  5. 국가적 수준의 산학협력 지원체계 구축
  6. 군 복무 중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과 취업·직업정보 및 상담 제공
  7. VK21(직업교육개혁사업) 추진 및 직업교육 투자강화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과 인력개발 6권 6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