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0권 1호

[정책과 이슈 | 2007년 정부부처 업무보고: HRD 정책중심으로] 산업자원부/과학기술부/정보통신부/보건복지부

저자명
홍광표
분류정보
THE HRD REVIEW(10권 1호)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07.03.30
등록일
2007.03.30
산업자원부
  산업자원부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첫 번째 정책계획은 기업규제 개선, 「일자리창출 효과 평가 시스템」적용 확대, 혁신형 중소기업의 지원, 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 지원을 주된 내용으로하는데, 기업의 투자활성화에 정책적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는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육성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하는 것인데, 공동물류센터 건립확대, 지역특성별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서비스산업지원센터」설치, 서비스 전문인력의 효율적 공급을 위한 인력양성, 유망서비스업종 육성 등을 계획하고 있다.
  세 번째는 주력기간산업의 지속성장을 통한 고용확대로서, 주력산업의 경쟁력강화와 전통산업의 고부가가치화가 주요 내용이다.
  네 번째는 부품·소재산업의 글로벌 공급기지화 기반을 구축하는 것으로 위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맞물려 있는 정책이다. 미래시장선점을 위한 핵심 부품·소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것 이 핵심내용이다.
과학기술부
  참여정부 출범이래 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을 통해 낮아지는 성장잠재력을 강화하고 산업고도화를 선도하여 혁신주도형 경제구조로 전환하는데 기여하고자 노력해왔다. 이런 정책기
조를 이어서 올해는‘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과학기술혁신의 토대를 구축’하는 데 역점을 둔다고 한다. 과학기술부의 정책전략 중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4. 전주기적 지원을 통한 과학기술인재 양성과 활용확대”를 중심으로 세부정책 내용을 살펴보고 HRD 정책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정보통신부
  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하여 가장 주목되는 정보통신부의 전략목표는“IT산업의글로벌 경쟁력 강화”로서 글로벌 핵심 IT 인력 양성을 통해 세계의 IT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는 정책이다. 이를 위한 세 가지 세부계획을 살펴보고‘국가인적자원개발 정책 전반’과의 정합성 등에 대해 살펴보자.
보건복지부
  HRD와 관련해서는“인적자본투자 확대 및 사회서비스 확충”과“보건의료 산업육성”등으로 지속가능한 인적자원 확보를 위한 정책과 오송과학단지의 기능활성화를 위한 연구지원 체계 마련 정책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10권 1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