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0권 2호

[정책과 이슈] 사회계층과 교육격차

저자명
유한구
분류정보
THE HRD REVIEW(10-02-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07.06.30
등록일
2007.06.30
본 연구에서는 요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설정된 모형의 타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계층의 결정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은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분리하여, 측정지표에서 요인을 추출하고, 요인간의 인과관계의 경로를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설정된 모형의 적합도를 파악하여 모형의 양호도를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주요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계층 요인이다. 사회계층 요인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변수인 부모의 직업과 가구의 수입, 부모의 학력 수준을 통해 측정한다.
 둘째, 사교육 요인이다. 사교육 요인은 국어, 영어, 수학 교과에서 사교육을 받았는가의 여부로 측정한다.
 셋째, 교사 요인이다. 교사 요인은 학교교육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한다. 교사 요인은 학교효과연구 등에서 평가된 교사의 사기와 열의, 교사의 성취 압력, 교사의 지원과 기대에 대한 문항의 합성변수를 사용한다.
넷째, 학생의 수업태도 요인이다. 학생의 수업태도는 국어, 영어, 수학 교과에서 학생들의 수업태도를 측정하는 설문 문항을 통해서 측정한다.
다섯째, 학업성취도 요인이다. 학업성취 요인은 교육격차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0권 2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