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의 중등단계 직업교육은 과거 70~80년대 경제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력양성에 크게 기여하여 왔으나, 점차 그 기능과 성격이 변모하여 제 기능을 못하는 현실
- 전문계고 졸업생의 대학진학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8년 현재 72.9%에 이름.
○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성격과 기능의 변화를 시기별로 간략하게 살펴보고, 최근 직업교육의 현황과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이후 중등단계에서의 직업교육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음.
· 1990년대 중반 이후 산업과 기술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기능과 성격은 종국교육에서 평생직업교육의 일환으로써의 계속교육으로 전환되었음.
· 중등단계 직업교육은 평생에 걸쳐 자신의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로 적극 지원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직업인의 소양이 강조될 수 있는 인문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함.
· 과학기술을 국가발전의 원동력으로 보고 고급인력 양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초 ? 중급 기술 인력 양성은 상대적으로 관심과 지원이 부족한 현실
·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문계 고교는 대학 진학률 급증, 학생 수 감소 등 직업교육기관으로써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음.
· 따라서 현행 전문계고 체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직업교육 체제 개편이 필요함.
· 이를 위해 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 산학연계를 통한 취업 지원확대, 획일화된 진학 경로 다양화, 국내외 우수 사례 벤치마킹, 재정지원 확대, 사회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 선도와 함께 통합적인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함.
Ⅰ. 서론
Ⅱ. 전문계고 현황
1. 학교 수
2. 학생 수
3. 졸업 후 진로
4. 교원
5. 예산지원
Ⅲ. 전문계고 관련 정책 동향
1. 1960~1970년대 초: 직업교육의 체제 육성
2. 1970년대 중반~1980년대: 산업인력양성을 위한 직업교육 정책
3. 1990년대 초: 직업교육 확충 정책
4. 1990년대 중반 이후 계속 교육으로의 전환
가. 신직업교육체제 구축 방안(교육개혁위원회, 1996)
나. 실업계 고교 체제 개편방향(1999. 3.): 교육발전 5개년 계획
다. 2000~2007년의 전문계고 관련 정책
5. 새 정부의 직업교육 주요 정책: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와 마이스터고 육성
Ⅳ. 주요 현안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