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2권 2호

해외인력진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저자명
송창용 성양경
분류정보
THE HRD REVIEW(12-02-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09.06.30
등록일
2009.06.30
○ 우리나라의 대졸 이상 고학력자의 경제활동참가율 및 고용률은 각각 79.5%, 77.2%로(2006년 기준) OECD 국가의 평균에 비해서는 약 8%p 낮은 수준임.

○ 지표상으로는 최근 청년층의 실업률이 감소하는 듯 보이나 실업률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청년 취업준비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 반면 청년층을 위한 신규 일자리는 계속적으로 감소할 전망
  - 2000년 이후 한국경제구조에서 “고용 없는 성장”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구직을 원하는 청년, 특히 대졸 고학력 청년층에게 적합한 국내 일자리 전망은 불투명한 실정임.

○ 따라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해외진출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청년해외취업은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음.

○ 이에 본 고에서는
  - 우리나라 해외인력진출의 현황을 살펴보고
  -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해외인력진출 지원 정책의 성과 및 문제점을 검토한 후
  - 해외인력진출 확대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Ⅰ. 서론

Ⅱ. 우리나라의 해외인력진출
   1. 우리나라의 해외인력진출 현황
   2. 우리나라 해외인력진출의 특징 및 변화

Ⅲ. 우리나라 해외인력진출 지원사업의 성과 및 문제점
   1. 해외취업지원사업의 성과
     ⑴ 해외취업지원사업의 현황
     ⑵ 정부 해외취업지원사업의 성과
   2. 우리나라 해외인력진출 정책의 문제점

Ⅳ. 해외인력진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1. 적극적인 해외 구인처 발굴
   2.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
   3. 해외취업을 이끌 수 있는 다양한 지원
   4. 정책 총괄기관 선정 및 정보 인프라 구축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2권 2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