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외고 관련 논란의 확대 과정에서 외고 교육에 대한 현황 점검 필요
- 실사구시적 입장에서 실증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외고 정책방향을 구체화
□ 실태 분석 결과
○ 외고 교육의 긍정적 측면으로, 외고의 전반적 교육환경이 일반고에 비해 우수한 가운데 교사와 학생의 유대감과 수업 집중도도 상대적으로 높음.
○ 외고 교육의 부정적 측면으로, 외고 입시 준비에 따른 초·중학교 단계부터 높은 사교육비 부담, 또한 외고 재학 중에도 일반고에 비해 높은 사교육 의존도
○ 외고 입학생 중 고소득·고학력 가구 자녀 비중이 일반고에 비해 높아 ‘실력’이 아니라 ‘가구 배경’이 우수 교육 기회 접근에 크게 영향
○ 외고 졸업생은 재학 중 진로미결정 비중이 일반고보다 높은 가운데, 졸업생 중 상대적 성적부진 학생 위주로 대학 어문계열 진학이 이뤄지고, 어문계열 진학자의 대학·전공만족도가 타 전공보다 낮음.
□ 실태 분석 결과에 기초한 외고 정책 방향
○ 외고 교육여건에서 일반고보다 양호하지만, 설립취지에 부합하지 못하는 교육으로 사교육비 증가 및 사회적 유대감 훼손의 원인으로 작용
○ 창의적 글로벌 인재 육성과 실력 위주 사회 풍토 조성이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를 고려하여 외고 개선 방향을 추진할 필요
Ⅰ. 서론
Ⅱ. 외고 관련 주요 쟁점별 실태
Ⅲ. 실태분석결과에 기초한 정책방향 모색
1. 기본 방향
2. 대안-선발
3. 대안-진학경로
4. 대안-다수 외고의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