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2권 4호

교육고용패널 자료(’07~’09)를 통해 본 외고 교육 실태

저자명
채창균
분류정보
THE HRD REVIEW(12-04-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09.12.30
등록일
2009.12.30
□ 배경
  ○ 외고 관련 논란의 확대 과정에서 외고 교육에 대한 현황 점검 필요
    - 실사구시적 입장에서 실증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외고 정책방향을 구체화
□ 실태 분석 결과
  ○ 외고 교육의 긍정적 측면으로, 외고의 전반적 교육환경이 일반고에 비해 우수한 가운데 교사와 학생의 유대감과 수업 집중도도 상대적으로 높음.
  ○ 외고 교육의 부정적 측면으로, 외고 입시 준비에 따른 초·중학교 단계부터 높은 사교육비 부담, 또한 외고 재학 중에도 일반고에 비해 높은 사교육 의존도
  ○ 외고 입학생 중 고소득·고학력 가구 자녀 비중이 일반고에 비해 높아 ‘실력’이 아니라 ‘가구 배경’이 우수 교육 기회 접근에 크게 영향
  ○ 외고 졸업생은 재학 중 진로미결정 비중이 일반고보다 높은 가운데, 졸업생 중 상대적 성적부진 학생 위주로 대학 어문계열 진학이 이뤄지고, 어문계열 진학자의 대학·전공만족도가 타 전공보다 낮음.
□ 실태 분석 결과에 기초한 외고 정책 방향
  ○ 외고 교육여건에서 일반고보다 양호하지만, 설립취지에 부합하지 못하는 교육으로 사교육비 증가 및 사회적 유대감 훼손의 원인으로 작용
  ○ 창의적 글로벌 인재 육성과 실력 위주 사회 풍토 조성이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를 고려하여 외고 개선 방향을 추진할 필요

Ⅰ. 서론
Ⅱ. 외고 관련 주요 쟁점별 실태
Ⅲ. 실태분석결과에 기초한 정책방향 모색
   1. 기본 방향
   2. 대안-선발
   3. 대안-진학경로
   4. 대안-다수 외고의 전환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2권 4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