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2권 4호

북구의 지역혁신과 인재개발정책

저자명
진미석 이현경
분류정보
THE HRD REVIEW(12-04-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09.12.30
등록일
2009.12.30
○ 최근 선진각국은 지역혁신을 통한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지역혁신방안에는 인재정책이 선행적, 후행적 전략으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

○ 북구국가, 특히 스웨덴이나 핀란드는 높은 경제수준뿐만 아니라 계층 간의 고른 분배를 통하여 성장과 평등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이루고 있다고 평가 받고 있음.
  - 이들 국가에서도 지역혁신정책은 매우 중요한 국가발전전략으로 다루어지고 다양한 방안들이 시도되고 있음.

○ 우리나라는 지방자치제가 정착되고 있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지원이 제공되고는 있으나 지역발전 과제는 매우 중요한 현안임.
  - 최근 국가인재개발체제 변화로 인한 지역인재정책의 위상과 성격의 변화와 더불어 지방자치정부의 역할 강화를 규정한 평생교육정책이 변화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지역인재정책을 재검토하고 지역발전과 연계한 지역인재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은 더욱 중요해짐.

○ 이에 본고에서는 스웨덴과 핀란드의 지역혁신정책과 인재개발정책을 살펴보고 한국의 지역인재개발정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Ⅰ. 서론

Ⅱ. 핀란드의 지역혁신정책과 인재개발정책 - 헬싱키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1. 핀란드의 특징
   2. 국가 혁신 정책과 클러스터 중심의 지역 발전
     1) 혁신 정책의 방향
     2) 2005~2008년의 혁신 정책
     3) '미래를 향해 살아 있는 핀란드 2006'의 새 전략
     4) 클러스터 중심의 지역 발전
   3. 헬싱키 수도권 지역 사례
     1) 지역적 특징
     2) 2003년 지역 협력 합의: 최고위 싱크탱크 간의 합의
     3) 혁신 전략 주요 내용
   4. 2009년 새로운 경쟁력 전략 수립
   5. 지역 발전을 담당하는 삼자협력 회사: Culminatum사
   6. 클러스터와 연계된 전문센터(CoE)들
   7. 지역발전에서 대학교와 폴리테크닉의 역할
     1) 헬싱키 수도권 지역의 고등교육
     2) 헬싱키대학교의 역할
     3) 폴리테크닉의 역할: Laurea 폴리테크닉

Ⅲ. 스웨덴의 지역혁신정책과 인재개발정책 - Φresund 지역을 중심으로
   1. 지역 발전의 거버넌스
     1) 삼중 나선(triple helix) 모델
   2. 거버넌스로서의 파트너십
     1) 기존의 정치적 전통
     2) 지역개발 정책: 파트너십의 거버넌스
     3) 파트너십 거버넌스의 특징
   3. 지역개발 사례: Φresund 지역
     1) Φresund 지역의 특징
        ⑴ 인구 및 지리적 특징
        ⑵ 정치 및 행정
     2) Φresund 과학지역(ΦSR)
        ⑴ Φresund 과학지역(ΦSR)의 특징
        ⑵ ΦSR의 주요 연구·혁신(R&I)의 플랫폼들
     3) 지역개발에서 Φresund 대학교(ΦU)의 역할
        ⑴ Φresund 대학교(ΦU) 컨소시엄의 특징
        ⑵ Φresund대학교(ΦU)의 지역개발 참여
        ⑶ 산학협력으로서 ΦU와 Φresund과학지역(ΦSR)의 연계
        ⑷ ΦU의 연구 측면에서의 기여

Ⅳ. 시사점
   1. 핀란드
     1) 지역개발에서 혁신과 거버넌스로서의 triple helix 강조
     2) 지역개발 연구의 공공재정 지원
     3) 지역 내 교육기관의 연계와 협력
     4) 지역 주민의 삶과 연계된 산업 발전
   2. 스웨덴
     1) 지역개발의 정부 주도에서 지역 거버넌스로의 변화
     2) 연구와 산업발전이 결합되는 혁신의 지향
     3) 대학교의 연구 활용 및 인력 개발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2권 4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