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가 진로교육을 충실하게 이행하지 못해 발생하는 사회적 폐해는 심각함. 진로교육은 학교교육의 본령으로서 현 정부가 추진하는 학교의 다양화·특성화 및 입학사정관제 등 각종 교육개혁 정책을 완성하기 위해서도 진로교육의 정립은 필수적으로 요구됨.
○ 정부는 성적위주 학생선발 및 사교육 증대 문제를 완화하고 학생선발의 다양화?특성화를 위해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역동성 확보 차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을 제시하는 등 진로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경주하고 있음.
○ 그러나 미흡한 학교 진로교육 기회 및 진로정보 제공, 통합적 관리 부재 및 교육수요자의 불만 등 학교 진로교육의 여건은 매우 열악한 상황이며, 비효율적인 진로경로로 인해 사교육 창궐 등 각종 사회적 비용도 발생하고 있음.
○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 진로교육의 추진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Ⅰ. 학교 진로교육 정책의 배경
Ⅱ. 학교 진로교육의 정책추진 현황
Ⅲ. 학교 진로교육의 문제점
Ⅳ. 세부 정책방안
방안 1. 교육과정의 진로교육 요소들 간 연계·통합력 및 활용도 제고
1-1. 전 교과목의 진로교육 지도(career education map) 작성
1-2. 교과활동과 연계한 비교과 활동 강화
1-3. 학교 차원의 교육과정 통합적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제도 강화
1-4. 학교급간 전환기의 학생중심 진로환경 구축
방안 2.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
2-1. 교원 연수과정에 있어서 진로교육 요소 확대
2-2. 교원 양성 및 승진과정에 있어서도 진로교육 요소 확대
2-3. 담임교사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 3. 학교의 진로교육 활동 지원체계 구축
3-1. '방과후지원센터'를 '학습자원 종합지원센터'로 확대개편
3-2. 커리어 포트폴리오 작성 지원 체계 마련
3-3. 학부모 교육 강화를 통한 진로지도의 효율화
3-4. 진로경로 다변화를 통한 학생의 진로선택 폭 확대 지원
방안 4. 중고등학교 진로교육에 있어서 지역격차 및 소득격차의 해소
4-1. 저소득계층 학생 진로교육 강화를 위한 Wee 지원사업 확장
4-2. 농산어촌 학생들의 진로정보 및 상담 접근성 확대
4-3. 직업에 대한 반편견 교육 강화를 통한 직업·지역 차별의식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