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3권 3호

국가자격체제(KQF) 구축 방안

저자명
조정윤 임경범
분류정보
THE HRD REVIEW(13-03-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0.09.30
등록일
2010.09.30
○ 국가자격체제(KQF)는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 및 기술 등의 달성 정도를 국가차원에서 인정하고, 이들 능력 인정결과 간의 호환성 구축을 위해 여러 자격을 포괄하고 연계시키는 국가적인 틀임.

○ KQF는 평생학습시대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자격 획득 등을 상호 연계하고 특히 교육자격과 동등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될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간을 둔 직업자격(KVQ)의 출현과 맥을 함께 하고 있음.

○ 영국과 호주를 중심으로 세계 각국은 이러한 국가자격체제를 도입하여 자국의 인적자원개발 제고와 평생학습사회의 구축을 도모하고 있음.

○ 국가자격체제의 의의는 다양하지만 무엇보다도 개인의 학습을 지속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경력개발 경로를 이해하도록 하여 평생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임.

○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과학기술부는 자격기본법에 근거하여 2003년 이후 우리나라 국가자격체제(KQF) 도입과 적용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이에 본고에서는 국가자격체제에 대한 해외사례 고찰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가자격체제(안)을 제시하고 이것의 바람직한 정착방안을 살펴보고자 함.


Ⅰ. 국가자격체제(KQF)의 개요

Ⅱ. 해외의 자격체제 구축 사례
   1. 유럽연합(EU)
   2. 영국(잉글랜드)
   3. 호주
   4. 남아프리카공화국

Ⅲ. KQF(안) 구축 과정 및 결과

Ⅳ. 향후 추진과제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3권 3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