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e-HRD Review에서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활용 실태를 살펴보고, 정책 방향을 제시한데 이어, 본고에서는 국제개발협력에 있어 비교적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미국, 일본, 영국, 독일의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현황과 관련 프로그램 사례를 정부부처, 연구 및 연수기관,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원 등의 사례 위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음.
- 일본은 JICA에서 주도적으로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확보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밖에 국제개발대학원 공동 프로그램 등이 개설되어 다양한 형태로 전문인력이 양성되고 있음.
- 미국도 USAID를 중심으로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며,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 학교교육과 연방정부에서 지원하는 비정규, 특별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음.
- 독일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은 정부 주도의 파트너십 프로그램(NGO의 활용)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으며, 개발교육에 6%의 예산을 배정(OECD에서 ODA 예산 체크)하여 체계적으로 지원함.
- 영국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은 초등 및 중등 과정의 개발교육 및 개발교육에서의 자율성과 지역 유관기관의 파트너십을 중요시함.
Ⅰ. 일본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1. JICA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제도
가.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양성 연수(Mid-term Training of Japanese Experts)
나. 주니어 전문원 제도(Associate Specialists)
다. 장기 해외 및 국내 연수 프로그램(Long-term Overseas/Domestic Training)
라. 기술협력 전문가 양성 개인 연수제도(Individual Training for Prospective JICA Experts)
마. 인턴십 프로그램
바. 개발교육
2. 고등교육기관을 통한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제도
가. 국제개발고등교육기구-국가정책대학원 공동 석사 과정(FASID/GRIPS Joint Graduate Program)
나. 일본무역진흥기구 아시아 경제연구소 개발 스쿨(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Advanced School: IDEAS)
3.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확보 - JICA의 전문인력 확보 제도
가. 국제협력 자문위원(Senior Advisors)제도
나. 특별 촉탁(Special Advisors)제도
다. 기획 조사원(Project Formulation Advisors)제도
Ⅱ. 미국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1. 미국 USAID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가. 정규직 양성 프로그램
1) Junior Officer Program
2) Mid-level Foreign Service Officer
3) Foreign Service Limited Program
나. 비정규 교육과정-특별 프로그램
1) Presidential Management Fellows Program
2) USAID Student Intership Program
3) USAID Fellows Program
2. 미국 USAID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확보
Ⅲ. 독일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1. 독일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방안
가. 인력 양성 시스템
나. 개발 교육
2. 독일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가. 독일개발연구소(DIE)의 인력 양성 프로그램
1) 학사 후기(postgraduate) 훈련 프로그램
2) DIE 인턴십 프로그램
나. 기타 인력 양성 프로그램
1) ENSA(Entwicklungspolitisches Schulaustausch) 프로그램
2) ASA 프로그램
3. 고등교육기관을 통한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가. Ruhr대학의 개발연구 및 개발정책연구소(Institute of Develop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Policy, 이하 IEE)
나. Bonne 대학의 ZEF
다. Duisburg-Essen 대학
Ⅳ. 영국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1. 영국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가. 영국 국제개발부 정책
나. 영국의 국제개발협력 인력양성 관련 학교 프로그램
1) 초·중등교육
2) 고등교육
2.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프로그램
가. 서섹스대학(IDS)
나. 맨체스터대학(IDPM)
다. East Agalia대학
라. 울버햄튼대학
마. NGO Fellowship 프로그램
Ⅴ.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