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우리나라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기술수준의 고도화와 글로벌 경제화에 따라 재직근로자를 비롯한 전체 국민의 근로생애에 걸친 직업능력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공공부문 외에 민간직업훈련기관의 직업능력개발시장 참여를 활성화 시키고 질적인 제고를 통한 경쟁력을 제고하여야 함.
○ 이에 직업능력개발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과 유사한 경험을 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선진외국의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에 대한 제도적 틀 및 노하우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원에서 개발국가 모델(development state model)을 대표하는 일본, 조합주의 모델(corporatist model)을 대표하는 독일, 시장 모델(market model)을 대표하는 미국을 대상으로 해당 국가의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우리나라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과 관련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음.
Ⅰ. 서론
Ⅱ.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의 의의와 범위
1.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의 의의
2.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의 구성 및 범위
Ⅲ. 해외 운영사례 분석
1. 일본의 운영사례
2. 독일의 운영사례
3. 미국의 운영사례
Ⅳ. 시사점 및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