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4권 3호

특성화고 취업지원 운영 방안

저자명
최동선
분류정보
THE HRD REVIEW(14-03-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1.09.30
등록일
2011.09.30
○ 특성화고 졸업생의 성공적인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을 위해서는 교육적인 노력과 함께, 사회적·문화적·정치적·경제적인 여건 등이 복합적으로 변화되어야 함. 이러한 변화의 핵심에는 ‘진로지도’ 또는 ‘취업지도’가 위치해야 함. 기존의 기능 중심의 특성화고 교육에서 학생들의 진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교육활동으로 변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임.

○ 이러한 방향성은 높은 취업률의 성과를 보이는 특성화고의 운영 현황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 이들 학교가 갖는 주된 특징은 ① 우수한 신입생의 유치, ② 학교 졸업 후의 비전(진로경로)의 구체적인 제시, ③ 학교 특성에 부합하는 전문(기술)자격 취득 지원, ④ 학과별 특성을 극대화하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⑤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의 개설·운영, ⑥ 산학협력 인프라의 구축?운영, ⑦ 단계적·체계적인 진로·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⑧ 산업체 경험 제고를 위한 기회 제공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에서의 효과적인 취업지원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함.


Ⅰ. 서론

Ⅱ.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 현황
   1. 개요
   2. 성별 진로 현황
   3. 산업별 취업 현황
   4. 직업별 취업 현황
   5. 임금

Ⅲ. 특성화고 취업지원 운영 사례의 주요 특징

Ⅳ. 특성화고 취업지원 운영 방안
   1. 특성화고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목표
   2.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진로개발역량의 제고
   3. 구체적인 진로경로나 비전 제공
   4.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연계성 강화
   5. 교내외 다양한 자원의 활용
   6. 종합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4권 3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