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시작하며
Ⅱ. 마이스터고 육성 추진 성과와 정책적 활용
1. 마이스터고 육성 추진 성과
가.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
나. 소질과 적성을 갖춘 우수 신입생 확보
다. 산업체 출신 교장 및 마이스터 교원 임용 확대
라. 교원의 산업 현장성 제고 및 역량 강화
마. 산학협력 체제 강화
바. 마이스터고 육성에 타 부처의 참여 활성화
사. 마이스터고에 대한 인지도와 신뢰도 증가
2. 사업성과의 정책적 활용
가. 객관적인 성과 평가를 통한 추진과제 발굴
나. 정책 집행 결과를 활용한 관련법 및 제도 개선
다. 중등단계 직업교육 선도 모델로서의 활용
Ⅲ. 지속 가능한 마이스터고 육성 정책을 위한 정책 제안
1. 행·재정적 지원 확대
가. 마이스터고 지정 기간 연장 체제 구축
나. 예산 확충을 통한 안정적 지원 보장
2. 학업과 취업의 병행을 위한 계속교육 지원체제 구축
3. 졸업생 취업 지원체제 강화
가. 졸업생 맞춤형 병역제도 개선
나. 자격체계 개편을 통한 마이스터고 졸업생 역량의 신뢰성 확보
다. 취업 지원 네트워크 구축
4. 지속 가능한 산학협력체제 확립
가. 국가 차원의 산학협력 기반 구축
나. 산학협력 우수기업 인센티브 제공
5. 마이스터고 육성·지원 주체의 다원화
가. 국가 및 지방정부 차원의 마이스터고 육성·지원
나. 민간 차원의 마이스터고 육성·지원
6. 우수 교원 확보 및 지원
가. 교원 증원 배치 및 인사상 우대 조치 현실화
나. 산업체 현장 전문가 활용 확대
다. 현직 교사의 역량 강화 지원
7. 졸업생 사후관리 시스템 구축
8. 개발도상국 대상 마이스터고 정책·교육 수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