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5권 3호

[동향] 일자리

저자명
양정승
분류정보
THE HRD REVIEW(15-03-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2.07.23
등록일
2012.07.23
Ⅰ. 일자리 정책
   □ 「고용동향·일자리 현장 및 확대정책 점검회의」 개최(2012.4.23.)
   □ 성실근로 후 귀국한 외국인 근로자 재입국 취업 제도 시행
   □ 지역인재 9급·기능인재 견습직원 선발시험 공고(2012.5.12.)
   □ 무급 휴업·휴직 근로자 지원 「고용보험법」 개정안 입법예고(2012.5.17.)
   □ 지식경제부와 IBK기업은행 간 일자리 창출 협력 MOU 체결(2012.5.29.)
   □ 2012 글로벌 창업/취업 대전(2012.6.11.~12.)
   □ 8월 2일부터 체불사업주 명단 공개 및 신용제재 도입
   □ 7월 1일부터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 전국 시행
   □ 유산·사산 여성근로자 보호 강화
   □ 통계청, 2012년 외국인 고용조사 현장 조사
   □ 고용노동부, 「2012년도 하반기 고용노동정책방향」 발표(2012.6.28.)

Ⅱ. 일자리 통계
   ◈ 2012년 5월 일자리 동향(경제활동인구조사 5월 원자료)
     □ 2012년 5월 고용률은 60.5%, 실업률은 3.1%로 전년 동월 대비 고용 현황 개선
     □ 남녀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와 고용률 증가하였으나 남자의 경우가 보다 뚜렷함.
     □ 상용근로자와 자영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증가, 일용근로자는 감소함.
     □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감소한 반면 고용률은 증가함.
     □ 고령층(55~79세)은 취업자와 고용률 모두 증가
     □ 실업자는 남녀 모두 감소
     □ 청년층(15~29세) 실업자는 34만 2천 명, 실업률 8%(전년 동월 대비 0.7%p 증가)
     □ 고령층(55~79세) 실업자 10만 3천 명, 실업률 1.8%(전년 동월 대비 0.4%p 감소)
     □ 비경제활동인구는 1,557만 9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만 6천 명 증가함.
     □ 청년층(15~29세) 비경제활동인구는 525만 9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만 5천 명 감소함.
     □ 전체실업률 대비 청년실업률 비율은 20대 초반은 증가, 20대 후반은 변화 없음.
     □ 청년층(15~29세) 비자발적 단시간 근로는 증가함.
     □ 현재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청년층 취업자 수와 고용률 증가
     □ 현재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실업률은 감소
     □ 재학 중 취업 청년층 중 주요 활동상태가 '일하였음'인 인구는 16만 7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명 감소하여 5.5% 감소함.
     □ 유휴청년층 규모와 유휴화율은 감소
   ◈ 2012년 3월 근로형태별 일자리 동향(경제활동인구조사 3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원자료)
     □ 중졸 이하 정규직 근로자만 감소, 여성과 전문대졸 비정규직 근로자는 크게 증가함.
     □ 한시적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는 증가, 비전형 근로자는 감소함.
     □ 남자는 용역과 특수형태근로가, 여자는 용역과 시간제 근로가 크게 증가함.
     □ 학력별로 고졸 이하는 비정규직이 감소한 반면 대졸 이상은 8만 2천 명(4.5%) 증가함.
     □ 청년층(15~29세)은 정규직 근로자 증가 비정규직 근로자 감소
     □ 청년층(15~29세) 시간제 근로자 증가, 한시적 근로자와 비전형 근로자 감소
     □ 청년층(15~29세) 비정규 근로 남자는 전년 동월 대비 2만 명(3.9%), 여자는 1만 명(1.6%) 감소함.
     □ 고졸 이하 청년층(15~29세) 비정규직은 소폭 증가함. 대졸 이상은 3만 4천 명(5.9%) 감소함.
     □ 고령층(55~79세)은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 모두 증가
     □ 고령층(55~79세) 비정규직 근로자 전년 동월 대비 11만 7천 명(8.8%) 증가함.
     □ 고령층(55~79세) 비정규 근로 남자는 전년 동월 대비 4만 3천 명(6.0%), 여자는 7만 4천 명(12.0%) 증가함.
     □ 고령층(55~79세) 비정규직은 모든 학력층에서 증가함.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5권 3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