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직업교육 정책
□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고졸시대 정착을 위한 선취업 후진학 및 열린 고용 강화 방안' 확정(2012.7.12.)
□ 한국폴리텍대학, 하계방학 중 산업체 현장에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원을 대상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
□ 아프리카 직업교육 전문가들, 고교단계 직업교육 사례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우리나라 특성화고에 방문(2012.7.25.~26.)
□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특성화고 글로벌 현장학습 공동 발대식」 개최(2012.7.11.)
□ 교육과학기술부, 계약학과 설치·운영 현황 조사 결과 채용조건형 1,054명, 재교육형 1만 1,220명이 재학 중인 것으로 발표(2012.7.11.)
□ 고용노동부, 9월부터 고졸 취업자를 위한 「일-학습 병행 교육훈련 시범사업」 실시(2012.7.11.)
□ 교육과학기술부, 진로체험 및 학부모 자녀 진로지도 연수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고 발표
□ 지식경제부와 교육과학기술부, 「2단계 광역선도사업 -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 공동 출범식」을 통해 광역경제권 단위 산학협력 본격 추진(2012.7.3.)
□ 교육과학기술부,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 우수사례 발표회」 개최(2012.8.14.)
□ 정부는 제11차 교육개혁협의회에서 범부처별로 공동으로 마련한 대학 경쟁력 강화를 취한 「대학 자율화 추진 계획」을 발표하였음(2012.8.27.)
□ 지식경제부, "신시장 창출형" 미래산업 선도기술 사업단 선정으로 미래 선도기술 개발 사업 본격 추진(2012.7.11.)
□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특화전문대학원 연계 학연협력 지원사업」 지원 대상으로 에너지환경정책기술대학원을 선정(2012.7.19.)
□ 교육과학기술부, 정부 해외인턴사업 평가 결과 발표(2012.7.2.)
□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lobal Teachers' University) 지원 사업」 대상 대학 선정(2012.7.4.)
□ 행정안전부, 「2012년 북한 이탈 주민 정착지원사업」 지원 대상 지자체 선정(2012.7.30.)
□ 정부는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새로운 기회 창출 - 상생형 일자리 확대 및 사회참여 촉진 방안」을 관계 부처 합동 계획을 발표하였음(2012.7.5.).
□ 정부는 제1회 산업융합발전위원회를 개최하여 향후 5년간의 산업융합 촉진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기본 전략로드맵인 「제1차 산업융합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하였음(2012.8.16.).
□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식경제부, 문화와 기술의 융합, 한류와 기업의 동반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2012.7.12.)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우수한 정부연구개발 성과를 발굴·선정하여 기술보증기금과 연계한 기술창업 및 사업화 자금 지원 추진
□ 문화체육관광부, 친환경·고품질 인쇄 등 인쇄문화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 추진하기 위하여 「인쇄문화산업 진흥 5개년 계획(2012~2016)」 발표(2012.7.11.)
Ⅱ. 직업교육 통계
□ 계약학과는 2012년(4.1. 기준) 105개 대학, 426개 학과, 1만 2,274명(채용조건형 1,054명, 재교육형 11,220명)이 재학
□ 입학사정관제는 2007년 시범 도입 시 10개교에서 2012년 125개교로 확대
□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DB 연계 취업통계조사 결과, 취업자는 총 29만 6,736명으로 2011년 대비 4,708명(1.6%p) 증가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의 2011학년도 학생 1인당 평균 장학금은 146만 원으로 전년(132만 원) 대비 10.6%(14만 원) 증가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의 2012학년도 학자금 대출(일반상환+취업 후 상환) 이용자는 40만 4천 명으로 전년도(39만 9천 명) 대비 5천 명 증가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 중 2012년 신입생 충원율 90% 이상을 보인 대학은 167개교(92.3%)로 전년(174개교, 96.1%) 대비 3.8%p 감소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 중 2012년 재학생 충원율 90% 이상을 보인 대학은 154개교(85.1%)로 전년 (82.9%) 대비 2.2%p 증가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의 2012년 총 입학자(34만 1,767명)를 출신 고등학교별로 살펴보면, 일반계고 85.7%, 특성화고 6.6%, 특수목적 4.0%를 차지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의 2011년도 재적 학생(199만 4,351명) 중 중도탈락학생은 7만 8,996명(4.0%)으로 전년(4.1%) 대비 0.1%p 감소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의 2012년 전임교원 확보율은 편제정원기준 79.3%로 전년(76.5%) 대비 2.8%p 증가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의 편제정원기준 2012년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는 26.5명으로 전년(27.6명) 대비 1.1명 감소
□ 2011년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시간강사는 10만 3,099명으로, 전업 시간강사가 52.1%, 시간강사들의 주당 평균강의시간은 3~6시간이 63.6%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의 2011년 학생 1인당 평균 연간교육비는 1,152만 8천 원으로 전년(1만 889천 원) 대비 5.8% 증가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의 기술이전 수입(408억 3,200만 원) 및 계약실적(1,603건)은 전년(320억 2,600만 원, 1,346건) 대비 각각 27.5%, 19.1% 증가
□ 4년제 일반대학 181개교의 국내특허 출원(1만 1,012건) 및 등록실적(6,427건)은 전년(9,559건, 4,139건) 대비 각각 15.2%, 55.3% 증가
□ 이공계 박사의 50.3%는 현 직장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전년 대비 8.2% 감소
□ 행정안전부가 '201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2012.1.1 기준)'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수는 모두 140만 9,577명으로 주민등록인구의 2.8%를 차지
□ 행정안전부의 북한 이탈 주민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2년 6월 이전까지 입국자는 약 2만 3,000여 명. 중기청의 북한 이탈 주민 채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이들이 중소제조업 인력난 해소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