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직업교육 정책
□ 교육과학기술부, 마이스터고 지정-운영지원-재지정 등의 전 과정에서 관련 부처의 역할을 확대하여 산학협력과 취업연계 등을 강화하는 「정부부처 참여형 마이스터고」 선정을 추진할 계획(2012.9.10.)
□ 교육과학기술부, 특성화고 3개교를 제7차 마이스터고('14년 개교 예정)로 선정 발표(2012.11.1.)
□ 교육과학기술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646개교의 2학년 12만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 실시(2012.10.12.)
□ 교육과학기술부, '선취업 후진학 정책'과 '열린 고용 정책'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고졸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정책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2013년부터 고등학교 졸업자 취업률 조사를 대졸자 취업률 조사처럼 건강보험 DB 등과 연계하여 조사할 계획(2012.10.19.)
□ 교육과학기술부, '2013학년도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신규 인가 대학 발표(2012.10.12.)
□ 교육과학기술부, 글로벌 수준의 전문대학 육성을 통한 직업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2012년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4개교 선정 발표(2012.9.18.)
□ 교육과학기술부, 일-학습 병행의 평생교육체계 구축을 통한 기업의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하여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산업은행에서 신청한 4개 사내대학 설치 인가 계획 승인(2012.10.31.)
□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예정자 1,551명을 선발하였음. 이에 따라 2013년에는 전국 4,550명(중학교 2,220명, 고등학교 2,330명)의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중·고등학교에 배치될 예정(2012.9.24.)
□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내 산학협력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R&BD 전문인력 양성으로 대학 산학협력 지원 강화" 방안 발표(2012.9.5.)
□ 교육과학기술부, 정부지원으로 설립된 '포항공대 엔지니어링 전문대학원'을 전문대학원으로 설립 인가(2012.9.5.)
□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 "2단계 연구중심대학 육성(BK21) 사업" 종합평가 및 결과, 주요 성과 발표(2012.9.4.)
□ 기획재정부, 2013년부터 중소기업의 FTA 활용을 이끌 전문인재 양성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2013년부터 6개 FTA 석사과정을 지원할 계획 발표(2012.9.25.)
□ 교육과학기술부, 정부연구과제 참여 학생의 적정 인건비 보장을 통한 안정적 연구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교과부 연구개발과제 참여 석·박사과정 대학원생의 최소 인건비 지급기준을 마련하여 2013년부터 적용할 계획(2012.10.19.)
□ 교육과학기술부와 연구재단, 「2012년도 학사과정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 시행(2012.9.6.)
□ 교육과학기술부, '강사' 제도 도입을 규정한 고등교육법 개정에 따라 후속조치로 관련 5개 법령을 입법 예고
□ 지식경제부, (사)전북새만금산학융합본부는 9월 4일 군산 국가산업단지 현장에서 "전북새만금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기공식"을 개최하여 산학융합지구 조성 사업 본격 추진
□ 정부, '신성장동력 성과평가 보고대회'를 개최하고 고부가서비스를 수출 주력산업으로 육성하여 2020년 세계 10대 서비스수출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고부가서비스 분야 발전 방향 및 향후 과제」 발표(2012.9.5.)
□ 기획재정부,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서비스산업 차별 완화 방안」 의결(2012.9.7.)
□ 문화체육관광부, 글로벌 출판 콘텐츠 문화강국 도약을 위하여 '출판문화산업 진흥 5개년 계획(2012~2016년)' 발표(2012.9.26.)
□ 정부, 고령사회에 대비한 종합적·선제적 대응체계 마련을 위해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의 고령사회 보완 계획을 국무회의에서 심의 확정(2012.10.16.)
□ 지식경제부, 고령친화산업 육성과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성남시와 구축한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 개관(2012.10.5.)
□ 정부, 미래 대비 재정 여력 확보, 대외 신인도 제고를 위해 균형 재정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강화하는 2013년 예산안으로 342조 5,000억 원을 편성(2012.9.20.)
□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도 예산안으로 2012년도 53조 2,637억 원보다 3조 8,707억 원(7.3%) 늘어난 57조 1,344억 원을 편성
□ 중소기업청, 2013년도 예산안은 2012년도보다 5,053억 원 증가(증가율 8.2%)한 6조 6,600억 원을 편성(2012.9.27.)
Ⅱ. 직업교육 통계
□ BK21 사업의 예산 집행, 참여인력 현황
□ OECD 교육통계
□ 2012년 교육기본통계
□ 대학정보공시(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