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6권 1호

[패널브리프] 조직문화와 직무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저자명
김호진
분류정보
THE HRD REVIEW(16권 1호)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3.01.28
등록일
2013.01.28
Ⅰ. 서론
   □ 미국 및 유로존 재정위기 등으로 최근의 기업 환경은 더욱 불확실하고 강도 높은 경쟁 상황에 직면해 있음. 이에 기업은 조직문화 개선과 근로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향상을 통한 기업 경쟁력 제고에 더욱 힘쓰고 있음.
   □ 최근 기업 환경이 더욱 불확실하고 단기적으로 급변하는 상황에서, 성과 향상 주체인 근로자가 인식하는 기업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수준이 어떠한지에 대한 조사·분석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음.
   □ 기존 연구 검토 결과, 기업 조직문화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이 기업 성과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
   □ 본고에서는 인적자본기업패널 4차(2011)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근로자가 인식하는 기업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수준에 대하여 업종별·규모별로 분석함.

Ⅱ. 분석자료
   □ 본고에서는 인적자본기업패널 4차(2011)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업종과 규모별로 분석함.
   □ 인적자본기업패널 4차(2011)년도에는 총 500개 기업이 조사되었으며, 이중근로자 조사가 병행된 기업은 총 456개임.
   □ 인적자본기업패널 4차(2011)년도에는 근로자 10,064명이 조사됨.
   □ 기업의 조직문화 및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대한 근로자 인식 점수는 근로자 설문 내용 중에서 선별하여 산출하였음.

Ⅲ. 조직문화에 대한 근로자 인식 비교
   □ 자사 인재우대에 대한 근로자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46점으로 나타남.
   □ 인재우대 세부 항목별로는 우수인재 우대 3.47점, 명확한 HRD 비전 3.40점, 인재 중요성 강조 3.51점으로 나타남.
   □ 자사 의사소통에 대한 근로자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35점으로 나타남.
   □ 의사소통 세부 항목별로는 직원과 회사사정 공유 3.31점, 자유로운 의견 제시 3.42점, 부서 간 의사소통 3.31점으로 나타남.
   □ 자사 신뢰관계에 대한 근로자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46점으로 나타남.
   □ 신뢰관계 세부 항목별로는 '동료에 대한 신뢰' 3.60점, '공정한 평가 및 보상' 3.27점, '경영진을 신뢰' 3.52점으로 나타남.

Ⅳ. 직무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비교
   □ 직무만족에 대한 근로자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57점으로 나타남.
   □ 직무만족 세부 항목별로는 '일 만족' 3.72점, '임금 만족' 3.23점, '인간관계 만족' 3.77점으로 나타남.
   □ 조직몰입에 대한 근로자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38점으로 나타남.
   □ 조직몰입 세부 항목별로는 '조건 좋아도 이직 안 함' 3.18점, '회사 문제는 내 문제' 3.70점, '이 회사는 내 인생' 3.11점, '충성할만한 회사' 3.54점으로 나타남.

Ⅴ. 근로자 인식과 기업 재무성과
   □ 1인당 매출액은 전체 평균이 약 7억 2천만 원으로 나타났으며, 1인당 경상이익은 약 4천 5백만 원으로 나타남.
   □ 기업의 1인당 매출액 및 1인당 경상이익과 근로자 인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업의 조직문화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이 긍정적이고,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재무 성과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Ⅵ. 결론
   □ 기업의 조직문화와 직무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을 업종, 규모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업종별로는 금융업이, 규모별로는 1,000명 이상의 기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기업 조직문화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점수가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성과도 함께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음.
   □ 최근의 기업 환경이 더욱 단기적이고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만큼, 기업의 재무성과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제고를 위한 다각적 시도가 필요함.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16권 1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