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직업교육 정책
□ 교육과학기술부, 특성화고의 전문교육 강화,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를 위하여 교육과정 총론의 일부(특성화고 부문)을 개정 고시(2012.12.14.)
□ 행정안전부, 국가자격시험의 고졸자 응시제한 폐지 확대 등 2013년부터 달라지는 행정제도 발표(2013.1.2.)
□ 여성가족부,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13~2017)」수립·발표(2012.12.27.)
□ 여성가족부 등 12개 부처, 「제1차 청소년보호종합대책(2013~2015)」확정(2012.12.20.)
□ 2014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34개 대학이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을 수시모집 특기자 전형 등에 활용할 전망(2012.11.16.)
□ 교육과학기술부와 법무부, '12년도 유학생 유치·관리역량 인증제(IEQAS) 평가 결과 발표(2012.12.31.)
□ 특허청, 3개 대학을 지식재산교육 선도대학으로 선정(2012.12.27.)
□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 대학 평가지표 개선안」발표(2012.12.6.)
□ 교육과학기술부, 평생교육법(제40조) 및 동법 시행규칙(제22조 제4항)에 의거, 성인 학습자 문자해독교육 프로그램(중학과정)의 교육과정을 고시(제2012-640호), 2012.3.1부터 시행(2012.12.31.)
□ 2013년 예산 확정(2012.12.31.)
Ⅱ. 직업교육 통계
□ 2011년 지방교육재정 현황
□ 산학협력단 운영수익 및 인력 조직, 현장중심 실무형 교육과정 개설 현황
□ 2012년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청소년 고민, 교육 기대 수준 및 목적, 등록금 마련 방법, 전공-직업 일치도)
□ 2012 학교진로교육 지표조사 결과(학부모 및 학생의 직업선택 기준, 중소기업 및 생산직 취업 희망)
□ 성인 문해교육 잠재 수요
□ 2012년도 평생학습 개인실태조사 결과(평생학습 참여율 및 참여시간, 참여 장애요인)
□ 2012년도 평생교육통계조사(기관 조사)(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 주제별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