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직업세계가 급변하고 청년 고용시장이 더욱 열악해짐에 따라 청소년들에 대한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관심이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학력지향적인 사회 분위기로 인해 진학 위주로 진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진로·직업체험활동은 특히 저조한 상황임.
□ 최근 정부에서는 진로탐색 중심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직업체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본고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를 이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실태와 성과에 대해 분석함.
Ⅱ.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교육 실태
□ 한국교육고용패널 3차(2006)~4차(2007)년도 자료 중에서 일반계고 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진로교육 실태를 분석함.
Ⅲ. 요약 및 결론
□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경험 실태와 성과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진로교육의 근본적인 목표는 진로성숙도 제고이며,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학업 성취에도 영향을 미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