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NCS를 활용한 역량 교육의 필요성
Ⅱ. NCS를 활용한 역량 교육의 운영 실태 및 요구
1. NCS를 활용한 역량 교육 운영 실태
가. 여주자영농고의 조경분야 운영 사례
나. 충북반도체고의 반도체 장비 유지·보수 분야의 운영 사례
2. NCS 기반 역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인식 분석
Ⅲ. NCS 기반 역량 교육 강화를 위한 추진 과제
과제 1: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또는 국가직무능력분류 체계에 기초하여 노동시장의 학력별 인력규모 전망을 실시하고, 직업교육기관의 특성화 학교, 학과(전공) 선정 및 운영 시 활용
과제 2: 다문화 가정의 증가 및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노동시장 유입 증대, 한국의 교육 Know-how 전수를 통한 '직업교육 수출' 확대 등을 고려해, 외국 직업자격과 국내 국가기술자격 또는 직업교육과정 간의 상호 인정 추진
과제 3: 선취업 후진학 병행 방안 중 '재직자 특별전형', '계약학과' 등에서 근로자의 경험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기준이나 직업교육기관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근거로서 NCS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
과제 4: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www.ncs.or.kr)의 '교육훈련과정 개발/관리'의 절차 및 워크시트를 활용하여 직업교육기관의 NCS 기반 역량 교육과정 개발 지원
과제 5: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단계적 확대를 위한 추진 과제
과제 6: NCS 기반 '성취평가제'와 '직업기초능력평가'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
과제 7: NCS 기반 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보급
과제 8: NCS 기반 중소기업 역량 모형 개발 및 인사관리 개편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