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 육성 전략〉
본고는 제1차 5개년 계획 기간(2006~2010년) 동안 중국의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 육성 및 활용 정책의 운영 현황,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의 발전 현황,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 육성 과정 중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 등을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제12차 5개년 계획 기간(2011~2015년) 동안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글은 “2011~2012년 중국인적자원발전보고서(中國人力資源發展報告, 2012)”와 중국의 과학기술 통계 자료를 번역하여 정리한 것이다.
Ⅰ.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 개요
Ⅱ.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
1. 고등교육의 개혁 촉진
2. 과학기술계획의 적극적 실천
3. 산학연 협력 촉진 및 기업의 혁신인재 양성 지원
4. 고급인재 유치 촉진
5. 혁신 및 창업지지, 과학기술혁신 특별구역 설정
Ⅲ.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 육성 현황(2006~2010년)
1. 과학기술 인재의 예비 인적자원 수 증가
2. 과학기술 인재의 혁신능력 수준의 향상
3.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의 규모 증가
Ⅳ.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 육성 시 직면한 문제
1. 혁신능력부족
2. 기업 내 고급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의 부족
3.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 육성 체제의 한계
4.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에 대한 평가지표의 한계
5. 지적소유권 보호 문제
Ⅴ.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 육성 전략
1. 고급 혁신형 인재 육성 및 활용을 위한 전방위적인 과학기술 인재 계획의 실천
2. 혁신형 과학기술 인재의 관리 및 육성 체계 개선
3. 기업의 역할 강화
Ⅵ. 시사점
〈고등교육의 서비스 사이언스 접근 소개〉
서비스 사이언스(Service Science)는 통합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법을 통해 서비스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며, 경영학·사회과학·컴퓨터 공학 등 여러 학문을 접목하여 서비스 산업의 발전과 서비스 수준의 혁신을 이루는 것이 목적이다. 서비스 사이언스는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경제의 서비스화(Tertiarization)' 시대에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인적자원의 역량 수준에 크게 의존하는 서비스 산업의 특성상 노동시장 및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주제이다.
본고에서는 미국진보센터(Center for American Progress)에서 발간 한 연구보고서 「고등고육의 서비스 사이언스 접근(A Service Science Perspective on Higher Education: Linking Service Productivity Theory and Higher Education Reform(2012)」의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의 서비스 사이언스 적용을 위한 접근법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Ⅰ. 서비스 사이언스(Service Science)
Ⅱ. 서비스 사이언스 관점으로 본 고등교육
Ⅲ. 고등교육에서 공동 생산(Co-creation)의 가치
Ⅳ. 서비스 마인드(Service mindset)의 개발
Ⅴ. 고등교육 및 직업교육 정책을 바꾼 서비스 로직(Service logic)
Ⅵ.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