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6권 6호

[동향] 해외

저자명
한효정 정미경 이동섭
분류정보
THE HRD REVIEW(16-06-1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3.11.26
등록일
2013.11.26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의 4년제 학사학위 과정 제공 현황과 의의〉

  1990년대 초 미국에서는 교육, 과학기술, 보건 등의 산업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해당 분야의 학사학위 소지자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더해 물리적·시간적 제한을 받는 비전통적 성인 학습자의 학사학위에 대한 요구도 확대되었음.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국의 대표적인 고등직업교육 기관인 커뮤니티 칼리지(Community College)에서는 1990년대 초부터 기존에 제공하던 2년제 준학사학위 외에 4년제 학사학위 과정도 제공하기 시작하였음. 커뮤니티 칼리지 학사학위는 그 수와 전공의 종류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에는 18개주 54개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465개의 학사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커뮤니티 칼리지 학사학위는 상당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시작된 제도이나 기존 4년제 대학과의 역할 충돌과 같은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어옴. 그러나 지난 20여년간 커뮤니티 칼리지 학사학위의 수와 종류는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커뮤니티 칼리지는 새로운 교육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에 있음. 현재 우리나라 전문대학 역시 다가올 미래 사회에서의 확고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수업연한 및 학위과정 다양화를 통한 평생직업고등교육기관으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음. 본고는 2010년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주관으로 수행된 『선진해외고등교육기관조사연구』를 참고하여 미국의 커뮤니티 칼리지 학사학위 제공 사례가 우리나라 전문대학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고 있는지 분석함.

〈독일의 산학연계형 고등교육〉

  이 글은 산업 현장과의 연계성을 중시하는 독일의 고등교육을 독일산업대학(Fachhochschule)과 직업아카데미(Berufsakademie)제도를 통해 소개함. 산업대학이 대학입학시험(Abitur)을 치르지 않은 노동자에게도 직업훈련 자격과 산업 현장 경험을 기준으로 대학교육의 길을 열어주고 있다면 직업아카데미는 대학입학자격시험에 합격한 학생들에게 산업 현장 연계형 고급고등교육을 제공하여 이론과 실제의 시너지효과를 강화하는 교육 모델임.
  이 글의 주요 참고자료는 2002년 연방정부 교육문화부에서 발간된 자료집 “Fachhochschulen in Germany(독일 산업대학)”과 Asia-Pacific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에 수록된 라인하르드(Reinhard)의 2006년 논문 “The German Berufsakademie Work-Integrated Learning Program: A Potential Higher Education Model for West and East(노동연계형 교육 제도인 독일 직업아카데미: 동양과 서양에서 잠재력을 발휘하는 고등교육 모델)”임. 그 외 독일 통계청의 교육통계, 연방정부 교육연구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독일 고등교육에 대한 자료가 이 글의 참고자료임.

〈핀란드 전문대학(Ammattikorkeakoulu) 현황

  고등교육의 대중화로 인해 직업교육훈련은 각 나라의 역사와 문화, 사회경제, 인구, 지리정치적인 요인에 따라 ‘Fachhochschulen’, ‘Ammattikorkeakoulu’, ‘University College’라는 각기 다른 이름하에 고등교육수준까지 상향되었다. 이는 누가, 그리고 어떻게 평생교육 선상에서 고등직업교육의 경계를 나누고 정당화하며 틀을 다시 짜는지에 대한 문제와 “학문적 표류(academic drift)”를 겪는 직업고등교육의 교수와 학습의 질을 어떻게 향상시키는지에 관한 중요한 논의가 된다.
  핀란드 정부는 ‘직업고등교육의 효율성과 고용률, 질,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11~2014년에 걸쳐 지배구조를 중앙집권화하고, 모든 전문대학을 유한법인화하는 구조개혁을 단행하고 있다. 전문대학의 성과중심 포뮬러 재정은 미래 직업고등교육의 책무성과 서로가 직면한 딜레마에 서로 다른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다.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6권 6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