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전문대학의 평생직업교육 현황과 애로 사항
1. 학칙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의 평생직업교육 현황
2. 전문대학의 평생직업교육제도 및 프로그램 운영상 애로 사항
Ⅲ. 전문대학의 평생직업교육에 대한 산업계의 수요
Ⅳ. 전문대학의 평생직업교육 기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
1. 정책 운영의 방향
2. 정책 제언
1) 국가 차원에서 평생직업교육의 시기, 대상, 내용을 종합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다음에 제안한 '한국인의 생애 단계별 평생직업교육 과업 모형'을 설정하고, 평생직업교육 정책에서 적극 활용한다.
2) 국가 차원에서 평생직업교육 성과의 '동등 가치(Equivalence)' 인정과 사회적 '통용성(Transparency)' 확보를 위해 '국가역량체계(NQ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를 개발하여 운영한다.
3) 전문대학의 평생직업교육 성과를 유도하기 위해 「교육관련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특례법」에 25세 이상의 성인대상 평생직업교육 관련 공시 항목을 추가한다.
4) 장기적인 접근 과제로 현행의 「직업교육훈련촉진법」을 「평생직업교육훈련촉진법」으로 개정한다.
5)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해 관련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집단에게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6) 산업체 재직근로자의 전문대학 평생직업교육 참여 촉진을 위한 정책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7) 정부는 전문대학의 일반학생과 성인학생의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학습 결과에 관한 사회적 통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운영한다.
8) 전문대학의 우수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정부는 'ODA(Official Development Aid)' 사업과 연계시켜 해외에 전파함으로써 전문대학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