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정신 교육(Entrepreneurship Education)의 현황 및 극복 과제〉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외부 경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솔루션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기업가정신 교육(Entrepreneurship Education)’은 지속적인 글로벌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기업 발전은 물론, 거시적인 경제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러 학자들이 기업가정신의 효과적인 육성 방안과 기업가정신 교육의 기본 요건에 대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업가정신’과 ‘기업가정신 교육’ 사이에는 공백이 존재하며, 특히 학문적 접근이 아닌 ‘실제 경영 환경(real world)’에서의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2013년 7월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의 특별호로 발간된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Measur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 Education)』에 게재된 여러 논문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미국에서의 다양한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기업가정신 교육의 개선 과제와 지향점이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한다.
Ⅰ.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과 '기업가정신 교육(Entrepreneurship Education)'
Ⅱ. 미국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 교육 트렌드
□ 기업가정신 교육 규모
□ 기업가정신 교육 목적 및 주요 내용
Ⅲ. 기업가정신 교육의 한계점 및 과제
Ⅳ. 주요 시사점
〈영국의 청년층 진로지도 정책 동향〉
최근 영국은 지속적인 경기 침체로 인하여 실업, 특히 청년층의 실업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의 타개책 중 하나로 정부는 경력·진로 교육의 강화를 통해 청년층이 자신의 적성과 기술에 맞는 일자리를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계획 중이다. 이를 위한 정책 대안(Career guidance Action plan)은 2014년부터 시행되며 학교, 중앙 및 지방정부, 국가고용청(National career service), 영국 교육기준청(Ofsted)으로 나누어 각각의 기관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고용주·학교·정부 간 네트워크 강화, 고용주들의 학교 운영이사회 참여를 통한 학생들의 실습기회 강화, 학교의 진로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마련, 국가고용청의 자료 및 홈페이지 활용성 강화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Ⅰ. 개요
Ⅱ. 중앙 및 지방정부에 대한 정책 방향
□ 중앙 정부
□ 지방 정부
Ⅲ. 관련 기관(학교, 국가고용청, 교육기준청, 지역 고용주)에 대한 정책 방향
□ 학교
□ 국가고용청
□ 교육기준청(Ofsted)
□ 지역 고용주
Ⅳ. 요약 및 시사점
〈중국식 기업상학원(企業商學院)의 개념과 운영 현황〉
이 글은 중국식 기업상학원(企業商學院)의 개념과 운영형태를 탐색해보고, 현재 기업상학원이 직면한 문제를 고찰한 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업상학원의 발전방안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기업상학원은 기업대학 혹은 사내대학과 유사한 개념으로, 조직구성원들의 교육욕구를 충족하고, 기업 맞춤형 전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기업이 자율적으로 설립한 대표적인 인재육성기구이다. 이 글은 중국기업교육백서(中國企業培訓藍皮書)의 기업상학원(企業商學院) 부분을 번역하여 정리한 것이다.
Ⅰ. 기업상학원의 등장 배경
Ⅱ. 중국식 기업상학원의 개념 및 운영형태
1. 중국식 기업상학원의 개념 및 특징
2. 중국식 기업상학원의 운영형태
Ⅲ. 중국식 기업상학원의 교육과정 운영
1. 중국식 기업상학원의 교육과정 설계
2. 중국식 기업상학원의 교육과정 형태
Ⅳ. 중국식 기업상학원(企業商學院)의 운영현황 및 발전방안
Ⅴ.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