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7권 2호

[동향] 일자리

저자명
김유미
분류정보
THE HRD REVIEW(17-02-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4.03.24
등록일
2014.03.24
Ⅰ. 일자리 정책
   □ 고용노동부, 업무보고 자료(2014.02.10.)
   □ 중소기업청, 업무보고 자료(2014.02.24.)
   □ 미래창조과학부, UST-출연(연) 손잡고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2014.02.07.)
   □ 기획재정부, 2014년 공공기관 인력운영 방향(2014.02.09.)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4년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창업자(팀) 모집(2014.02.14.)
   □ 고용노동부, 「장년 취업 인턴제」시행(2014.02.14.)
   □ 고용노동부, 육아휴직 가능 연령 확대 시행(2014.01.07.)
   □ 고용노동부, 「2014년 노동단체 지원사업」공모(2014.01.17.)
   □ 고용노동부·근로복지공단,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사회보험료 지원(2014.01.22.)
   □ 고용노동부, 「고용률 70% 로드맵」홈페이지 오픈(2014.01.29.)
   □ 기획재정부, 「일하는 여성을 위한 생애주기별 경력유지 지원방안」발표(2014.02.04.)
   □ 농림축산식품부, 6차 산업화 지원정책 매뉴얼 발간(2014.02.05.)
   □ 고용노동부, 「지역노사민정협력 활성화 사업」합동설명회 개최(2014.02.14.)
   □ 교육부, 「중소기업 취업 전제 희망사다리장학금 사업」시행(2014.02.17.)
   □ 고용노동부, 「2014년 생애주기별 일하는 여성 지원정책 안내서」배포(2014.02.18.)
   □ 고용노동부,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참여자 모집(2014.02.21.)
   □ 고용노동부, 청년·여성이 찾는 지역맞춤형 일자리 만들기 프로젝트(2014.02.21.)
   □ 미래창조과학부, 2014년 여성연구자 경력복귀 지원 확대(2014.02.25.)

Ⅱ. 일자리 통계
   □ 2014년 1월 고용률은 58.5%, 실업률은 3.5%로 고용률과 실업률은 전년 동월 대비 각 1.1%p, 0.1%p 증가
   □ 남녀 모두 전년 동월 대비 고용률 증가
   □ 임시근로자는 감소한 반면, 그 밖에 상용근로자, 일용근로자와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는 증가
   □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와 고용률 모두 증가
   □ 고령층(55~79세)은 취업자와 고용률 모두 증가
   □ 남자 실업률 감소, 여자 실업률 증가
   □ 청년층(15~29세) 실업자는 37만 2천 명, 실업률 8.7%(전년 동월 대비 1.2%p 증가)
   □ 고령층(55~79세) 실업자는 17만 1천 명, 실업률은 3.1%로 전년 동월 대비 0.2%p 증가
   □ 비경제활동인구는 1,665만 4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2만 1천 명 감소
   □ 청년층(15~29세) 비경제활동인구는 526만 7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만 4천 명(2.7%) 감소
   □ 전체 실업률 대비 청년실업률 비율은 10대 후반과 20대 초반, 20대 후반 모두에서 증가
   □ 청년층(15~29세)의 비자발적 단시간 근로는 증가
   □ 현재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청년층 취업자 수와 고용률 증가
   □ 재학 중 취업 청년층 중 주요 활동상태가 '일하였음'인 인구는 43만 8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만 1천 명이 증가하여 7.6%p 증가
   □ NEET족 인원 수와 비율 모두 증가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7권 2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