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7권 4호

[패널브리프] 청년층의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저자명
신동준 류지영
분류정보
THE HRD REVIEW(17-04-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4.07.28
등록일
2014.07.28
Ⅰ. 연구 배경
   □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국가 및 사회의 발전에 인적 자원의 개발과 활용이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음.
   □ 본고에서는 청년층의 사회자본을 사회 참여와 네트워크, 사회 신뢰로 구분하여 그 수준을 살펴보고, 경제활동 성과인 취업 여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함.

Ⅱ. 분석 자료 및 대상

Ⅲ. 분석 결과

   1. 사회적 활동 및 참여
     □ 청년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유지를 위한 활동을 파악하기 위해 사적인 영역에서의 모임과 공적인 영역에서의 활동으로 나누어 살펴봄.
     □ 사회적 참여에 대한 지표로는 일반적으로 선거 참여를 활용함. 본 조사에서는 제18대 대통령 선거 참여를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응답자의 76.9%가 투표에 참여함.

   2.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SNS 활동
     □ 청년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관계망(SNS) 서비스의 활용 정도를 파악함.

   3. 사회에 대한 신뢰도
     □ 청년층의 사회 각 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살펴보면, 정당과 의회가 각각 18.0%, 18.3%로 신뢰 수준이 가장 낮음.
     □ 사회 기관에 대한 신뢰 정도를 점수화하면, 20개 기관 전체의 신뢰 수준은 -0.16점으로 낮은 편임.

   4. 사회자본과 취업 성과
     □ 청년들의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 청년층의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Ⅳ. 시사점
   □ 본고에서는 청년들의 사회적 활동과 네트워크 형성, 사회에 대한 신뢰 수준을 파악하고, 경제활동과의 관련성을 발견하기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10차년도 자료를 분석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7권 4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