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일자리 정책
□ 고용노동부, 「2014년 청년고용 촉진 특별위원회」개최(2014.05.31.)
□ 고용노동부, 일과 삶의 균형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업들의 자발적 변화를 돕기 위한 「일家양득 매뉴얼」발간·배포(2014.06.02.)
□ 고용노동부, 구직자 동아리 대표 및 소셜벤처 청년기업가가 함께 한 장년고용포털 '장년 희망 날개' 시연회 및 세대간 상생 간담회 개최(2014.06.06.)
□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와 여신금융협회, 노사발전재단, 한국신용카드네트워크가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2014.06.14.)
□ 고용노동부, 2015년 최저임금(안) 시급 5,580원(7.1% 인상) 표결 처리(2014.06.27.)
□ 고용노동부·전국경제인연합회, 주요 대기업 대상 전직지원설명회 개최(2014.06.25.)
□ 한국고용정보원, '취약 청년층 진로 현황 및 지원과제' 세미나(2014.05.30.)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창업 초기 기업을 위한 사후 관리 프로그램 진행(2014.06.17.)
□ 부처 통합,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고용복지 서비스 제공(2014.06.26.)
Ⅱ. 일자리 통계
◈ 2014년 5월 일자리 동향(경제활동인구조사 5월 원자료)
□ 2014년 5월 전체 고용률은 60.8%, 실업률은 3.6%로 고용률과 실업률은 전년 동월 대비 각 0.4%p, 0.6%p 증가
□ 전체 실업률 대비 청년실업률 비율은 10대 후반에서 감소하고 20대 초반, 20대 후반의 경우는 각 0.1%p 감소
□ 청년층(15~29세) 비자발적 단시간 근로는 증가
□ 현재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청년층 취업자 수는 4만 4천 명, 고용률은 0.9%p 증가
□ 재학 중 취업 청년층의 주요 활동상태가 '일하였음'인 인구는 15만 2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1천 명 감소하여 6.7%p 감소
□ NEET족 인원은 76만 6천 명, NEET족 비율은 8.1%로 전년 동월 대비 인원 2만 6천 명, 비율 0.2%p 감소
◈ 2014년 3월 근로현태별 일자리 동향(경제활동인구조사 3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원자료)
□ 전문대졸 비정규직 근로자는 크게 증가, 중졸 이하를 제외한 비정규직 근로자 증가
□ 시간제, 한시적 근로자는 증가, 비전형 근로자는 감소함.
□ 청년층(15~29세)은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 모두 증가
□ 청년층(15~29세)의 비정규직 근로 남자는 전년 동월 대비 4천 명(0.8%) 증가, 여자는 2만 1천 명(3.5%) 증가함.
□ 대졸 이상 청년층(15~29세)의 비정규직은 소폭 증가함. 고졸 이하는 2천 명(0.3%) 감소함.
□ 고령층(55~79세)은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 각 10.9%, 10.5%로 증가
□ 고령층(55~79세) 비정규직 근로 남자는 전년 동월 대비 6만 명(7.8%), 여자는 10만 2천 명(13.2%) 증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