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기업 및 CEO 입장에서의 노동시장 유연화
□ 근로자 입장에서의 노동시장 유연화
□ 자발적 및 비자발적 경력단절자 입장에서의 노동시장 유연화
□ 창업으로 인한 경력단절자 입장에서의 노동시장 유연화
Ⅱ. 분석 자료와 방법
□ 본고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CCP)'자료를 이용하여 노동시장에서의 경력단절 경험 근로자의 경력 단절 사유별 재고용 이후의 근로조건 만족도 및 임금 수준 등을 분석함.
□ HCCP패널이 가진 근로자조사(5차년도 약 10,000명의 근로자에 대한 설문조사 수행)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업종별·기업규모별·근로자 특성별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근로자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음.
Ⅲ. 경력단절의 세부 현황 및 파급 효과
1. 경력단절 근로자 채용 비중
2. 경력단절 사유별 경력단절 기간
3. 경력단절 이후 첫 번째 직장에서의 만족도(경력단절 사유별)
4. 경력단절 경험 여부별 근로자 간 현 직장에서의 임금수준 비교
Ⅳ. 요약 및 결론
□ 근로자 측면에서의 노동시장 유연화 검토 결과
□ 자발적 및 비자발적 경력단절자 측면에서의 노동시장 유연화
□ 창업으로 인한 경력단절자 측면에서의 노동시장 유연화
□ 근로자 측면에서의 노동시장 유연화에 대한 연구 및 제도 검토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