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7권 5호

[동향] 직업교육

저자명
이은혜
분류정보
THE HRD REVIEW(17권 5호)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4.09.29
등록일
2014.09.29
Ⅰ. 직업교육 정책
   □ 교육부, 여름방학 교육기부 프로그램 운영(2014.7.23.)
   □ 교육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7월 29일 공포·시행(2014.7.22.)
   □ 교육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일부개정 입법예고(2014.7.21.)
   □ 교육부, '2014년 평생학습중심대학 육성사업' 지원 대학 선정·발표(2014.7.3.)
   □ 교육부·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독일 글로벌 현장학습 추진(2014.8.22.)
   □ 교육부·한국연구재단, 'CK 사업(University for Creative Korea)' 선정결과 발표(2014.7.1.)
   □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6학년도 전문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 발표(2014.8.12.)
   □ 교육부·한국직업방송, 진로직업동영상 통합시스템 구축(2014.6.2.)

Ⅱ. 직업교육 통계

   ◈ 2014년 교육기본통계
     □ 2014년 특성화고등학교는 499개교로 전년 대비 5개교 증가함.
     □ 2014년 특성화고 학생은 313,449명으로 2011년 이후 감소 추세임.
     □ 2014년 중·고등학교 진학률은 99% 이상이며, 고등교육 진학률은 70.9%(전년 대비 0.2%p 증가)임.
     □ 2014년 고등학교 졸업자의 취업률은 33.5%로, 전년 대비 3.3%p 증가

   ◈ 2014년 8월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 2013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취업자는 286,896명으로 취업률은 59.3%임.
     □ 전공계열별 취업률은 살펴보면, 전문대학의 경우 교육계열이 81.9%로 가장 높고, 일반대학과 일반대학원은 의약계열이 각각 71.1%와 85.0%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지역별 취업률을 살펴보면, 비수도권의 취업률(59.6%)이 수도권(58.9%)보다 조금 더 높음.
     □ 성별 취업률을 보면, 남성은 62.7%로 여성(56.1%)보다 6.6%p 높게 나타남.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17권 5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