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7권 6호

[동향] 직업교육

저자명
이은혜
분류정보
THE HRD REVIEW(17권 6호)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4.11.24
등록일
2014.11.24
Ⅰ. 직업교육 정책
   □ 교육부, 대학생 직업체험 및 취업역량 제고를 위한 「우수근로장학 기관」운영(2014.10.16.)
   □ 교육부, 국가정책 조정 회의에서 고졸 취업 활성화 방안 발표(2014.10.02.)
   □ 교육부, 기업과 특성화 전문대학 인재 매칭 사업 시작(2014.10.01.)
   □ 교육부·법원행정처, 중학교 자유학기제 학생 체험 인프라 구축 및 사법부의 학생 법교육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2014.9.19.)
   □ 교육부, 청년 창업문화 로드쇼 '창업지락(創業知樂)' 개최(2014.9.18.)
   □ 교육부,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 명장의 공방 시범 설치 및 운영(2014.9.12.)
   □ 교육부,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코어(Core) 기술혁신형 겸 산학협력 중개센터 선정(2014.9.1.)

Ⅱ. 직업교육 통계

   ◈ 2014년 10월 대학 정보 공시
     □ 현장학습 이수학생은 2011년 27,440명에서 2013년 54,228명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현장학습 참여기업도 2011년 16,044개에서 2013년 32,390개로 증가
     □ 비수도권 대학은 현장실습 이수 학생이 전년 대비 36.7%, 참여 기업체는 37.8% 증가함.

   ◈ 2014년 10월 대학 정보 공시
     □ 우리나라 전문대학 입학률은 36%로 OECD 평균(18%)보다 두 배 더 높고, 대학교와 대학원 석사과정 입학률은 69%, 대학원 박사과정 입학률은 3.1%로 OECD 평균보다 각각 11%p, 0.5%p 높음.
     □ 우리나라 25~64세 인구 중 고등학교 이수자는 82%, 고등교육 이수자는 42%로 OECD 평균(고등학교 75%, 고등교육 32%)을 상회함.
     □ 우리나라 고등교육 이수자(25~64세) 중 상위권 언어능력(4/5)을 가진 자는 14%로 PIAAC 참여국 평균(24%)보다 10%p 낮음.

   ◈ 2014년 KEDI 교육통계(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률 및 진학률 현황)
     □ 2014년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률은 44.2%(전년 대비 3.3%p 증가)로 진학률(38.7%)보다 5.5%p 높음.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17권 6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