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직업교육 정책
□ 교육부, 일반고등학교 발전위원회 구성 및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추진 방안 마련(2015.2.3.)
□ 교육부, 2015년 제1회 「진로·직업 체험의 날」운영(2015.2.24.)
□ 교육부, 「산학협력촉진법」개정(2015.3.3.)
□ 교육부, 2015년 탈북학생 교육 지원 계획 발표(2015.3.5.)
□ 교육부·미래창조과학부, 소프트웨어 분야 최초 마이스터고 개교(2015.3.3.)
□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5·31. 교육개혁 성과와 직업교육의 미래'를 주제로 미래인재 포럼 개최(2015.1.30.)
□ 교육부·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5년 글로벌 현장 학습 사업 계획 발표(2015.3.4.)
Ⅱ. 직업교육 통계
◈ 2012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
□ 2012년 대졸자 정규직 비율은 남성 69.3%, 여성 61.2%로 작년 대비 감소
□ 2012년 대졸자 중 청년층 고용률은 75.3%로 2010년 이후 계속된 하락 추세를 보임.
◈ 2014년 사교육비·의식 조사
□ 2014년 사교육비 총규모는 18조 2천억 원으로 2013년 18조 6천억 원 대비 4천억 원 감소하였으며, 5년 연속 감소추세
□ 방과후 학교 참여율(유상+무상)은 2013년 60.2% 대비 59.3%로 사교육비·의식조사 시작 이래 처음 감소
□ 예체능과목의 경우 사교육비 및 사교육참여율이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보이거나 증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