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직업교육 정책
□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농산어촌 ICT지원 원격영상 진로멘토링」확대 시행(2015.5.4.)
□ 교육부, 지역 중심의 진로·직업교육 지원체제 마련(2015.4.28.)
□ 교육부·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발표(2015.4.10.)
□ 교육부, 산업단지별 맞춤형 인력양성 추진계획 발표(2015.4.7.)
□ 교육부·농림축산식품부, 국내 유일의 식품 분야 마이스터고 개교(2015.4.3.)
□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특성화고 학생들 독일·스위스 취업 길을 열다(2015.3.31.)
Ⅱ. 직업교육 통계
◈ 2015년 4월 대학정보 공시
□ 2015학년도 4년제 일반대학 1인당 연간 평균등록금은 667만 원으로, 176개교 중 98.9%인 174개교가 등록금을 인하 또는 동결
□ 2015학년도 1학기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62.7%로 2014년(61.0%) 대비 1.7%p 증가하였고, 20명 이하 소규모 강좌 비율은 38.5%로 2014년(38.2%) 대비 0.3%p 증가
□ 2014학년도 재학생이 각 교과목에서 취득한 성적분포를 살펴보면, B학점 이상 취득학생의 비율은 2013년 대비 0.9%p 감소
◈ 2009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2차 추적조사(2012년)
□ 2009년 대졸자의 졸업직후 취업자 비중보다 대학졸업 후 3년 6개월~4년이 지난 시점에서 취업자 비중 증가
□ 2009년 대졸자 중 첫 일자리 유지자는 전체 취업자의 51.1%로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