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진로교육법」의 제정 배경
Ⅱ. 「진로교육법」의 구조
1. 「진로교육법」의 구조
2. 시행령과 시행규칙 제정안
3. 진로교육의 범위와 다른 법과의 관계
4. 해외 진로교육법과의 비교
Ⅲ. 「진로교육법」의 특성과 의미
1. 미래지향적 진로교육의 방향성 제시
가.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대응으로서의 진로교육의 강조
나. 진로개발역량을 강조하는 미래지향적인 진로교육의 방향성
다. 기본권으로서의 진로교육의 강화
라. 참여와 체험 기반의 진로 교육
마. 지역사회와의 협력에 기반한 진로교육
2. 진로교육의 요소에 대한 개념의 정립
3. 진로교육의 대상 확대 및 진로교육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제 강조
가. 대학에서의 진로교육
나. 취약계층 대상의 진로교육
다. 다양한 관련부처, 지방자치단체 등 협력적 진로교육 거버넌스 강조
4. 진로교육지원의 체계화
가. 국가진로교육센터 및 지역진로교육센터 운영
나. 진로교육 현황조사
다. 진로체험 지원체계의 구축
5. 진로교육 전문 인력 규정
가. 진로교육 전담교사
나. 진로교육지원 전문 인력
6. 진로교육 중심 교육과정 강화
가.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의 확립
나. 진로체험 교육과정의 개념
Ⅳ. 향후 과제
1. 「진로교육법」의 입법취지를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시행령과 규칙의 제정
2.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을 위한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