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9권 1호

[동향] 직업교육

저자명
송초의
분류정보
THE HRD REVIEW(19권 1호)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6.01.25
등록일
2016.01.25
Ⅰ. 직업교육 정책
   □ 교육부, 「진로교육법 시행령」제정(2015.12.15.)
   □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확정(2015.11.25.)
   □ 교육부, 교육개혁 촉진을 위한 대학규제 혁신(2015.11.6.)
   □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5년도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성과포럼 개최(2015.12.17.)
   □ 중소기업청, 창조센터 연계 「지역특화산업학과」생긴다(2015.12.16.)

Ⅱ. 직업교육 통계

   ◈ 2015년 교육통계연보
     □ 고등학교단계 직업교육기관의 학교 수와 학생 수는 공업고등학교가 학교 수 197개, 학생 수 135,146명으로 가장 많음.
     □ 중학교 졸업자의 2015년 일반고등학교 진학자는 418,576명, 전체의 71.4%로 가장 많음.
     □ 산업수요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의 2015년 학생 수는 17,502명으로 전년 대비 11.4%p 증가함.
     □ 일반대학의 졸업자 수는 322,413명으로 전문대학의 182,424명 보다 높게 나타남.

   ◈ 2015년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연차평가
     □ 현장실습 및 캡스톤디자인, 맞춤형 학과 운영, 산업 수요 맞춤형 교육 등을 통해 다양한 산학협력 성과 창출

   ◈ 2014년 평생교육통계조사
     □ 2014년도 평생교육기관 수는 총 5,376개로 전년 대비 384개 증가함.
     □ 2014년도 전체 평생교육기관의 학생·학습자 수는 전년 대비 39.7% 감소함.
     □ 프로그램 주제별로는 직업능력향상이 전체의 40.2%(63,444개), 문화예술 32.7%(51,577개)로 가장 많으며, 시민참여 교육과정은 74개로 가장 적음.
     □ 주제별 학습자는 직업능력향상 프로그램이 전체의 47.2%(6,130,182명)로 가장 많으며, 주로 원격형태(5,396,093명, 88.0%)로 수강함.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19권 1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