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지식기반사회에 들어서면서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조직문화가 강조되고 있음.
□ 본고에서는 혁신문화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5차(2013)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혁신문화가 교육훈련 투자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함.
Ⅱ. 분석 자료 및 기업 특성
□ 인적자본기업패널 5차(2013)년도 자료에서 응답 결측값을 제외한 327개 기업을 분석함.
□ 혁신문화에 따른 교육훈련 투자와 기업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는 근로자 설문내용, 본사 설문내용, NICE신용평가정보(주)의 재무자료 중에서 선정함.
□ 분석 자료의 일반적 특성
□ 기업 특성과 혁신문화
Ⅲ. 혁신문화와 교육훈련 투자
□ 고혁신 기업은 근로자 1인당 50만 9천원의 교육훈련비를 투자하여 저혁신 기업의 약 3배를 투자하고 있음.
□ 1인당 교육훈련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혁신문화는 교육훈련 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Ⅳ. 혁신문화와 교육훈련 투자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혁신문화가 강한 기업일수록 1인당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혁신문화는 재무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지만 교육훈련 투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혁신문화가 강한 기업일수록 노동생산성 등의 비재무적 성과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 비재무적 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혁신문화는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Ⅴ. 결론
□ 전반적으로 기업 특성에 따른 혁신문화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혁신문화가 강한 기업일수록 교육훈련 투자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남.
□ 혁신문화는 기업의 재무 성과에는 교육훈련 투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반면, 노동생산성 등의 비재무적 성과에는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기업에서 혁신문화를 강화하면서 교육훈련에 적극 투자한다면 재무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