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지

THE HRD REVIEW 19권 5호

[패널 브리프] 근로자 측면의 인적자본투자 성과 분석

저자명
황성수 설귀환
분류정보
THE HRD REVIEW(19-05-1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16.09.29
등록일
2016.09.29
Ⅰ. 서론
   □ 근로자의 생산성 제고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인적자원 개발에 대한 투자는 근로자의 최대 이익 추구 과정에서 결정됨.
   □ 본고에서는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이하 HCCP)의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훈련이 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개인의 자원배분 효율성 제고에 시사점을 주고자 함.

Ⅱ. 이론적 배경
   □ 조사자의 교육훈련 기회에 선택편의가 존재함에 따라 선택편의의 수정이 교육훈련의 임금효과 추정에 중요한 이슈임.

Ⅲ. 분석대상
   □ HCCP의 5차(2013년)년도, 6차(2015년)년도 근로자 조사 자료에서 결측을 제외한 826명의 근로자를 분석대상으로 함.

Ⅳ. 분석결과
   □ 근로자의 교육훈련 수준 선택요인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직무만족도, 나이, 학력, 교육훈련의 의무이수 여부로 나타났으며 교육훈련 시간의 증가는 높은 임금상승률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남.

Ⅴ. 결론
   □ 근로자의 효율적인 자원분배 측면에서 교육훈련 투자 편익의 크기를 엄밀히 추정하는 것은 중요함.
   □ 교육훈련 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직무만족도, 나이, 학력, 교육훈련의 의무 이수 여부로 나타남.
   □ 투입-반응 함수로 살펴본 교육훈련 시간의 임금효과는 하위 20%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근로자 측면의 교육훈련투자 성과의 크기를 추정한 본 연구의 결과는 근로자의 자원 분배 결정 과정에서 기준(benchmark)을 제시할 수 있으며, 교육훈련이 가지는 성과의 크기에 비해 과소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THE HRD REVIEW 19권 5호 바로가기
동향지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639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519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