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논의 배경과 목적
Ⅱ. 주요 추진 현황 및 핵심 이슈
1. 주요 추진 현황
가. 한-호주 자격 상호인정 대상 직종 선정기준 마련
나. 한국 측 후보대상 자격 도출
다. 최종 대상종목 제안 및 호주 측과의 협상
라. 제1차 한-호주 공동실무단 협의
2. 핵심 이슈
가. 모델 1: 직종 분류를 위한 국제적(또는 여타의) 표준 이용(Benchmark using international (or other) standards for the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나. 모델 2: 특정 산업의 프레임워크 활용(Benchmark using industry/international specific frameworks)
다. 모델 3: 공통 핵심의 직업적 표준 개발(Benchmark through a consensus approach to identifying common core skills and developing common core occupational standards to underpin training/assessment activities)
라. 모델 4: 산업계 전문기관 주도(Benchmark through industry professional organisations)
마. 모델 5: 기존의 역량·훈련·직업적 표준의 활용(Benchmark through qualifications using existing competency/training/occupational standards)
Ⅲ. 로드맵 및 추진전략